이 게시판은 RC(1995)의 주제어 색인에 기초해서, 주제어에 따라 번역문들을 정렬, 연결한 것들이다.

평형화(equilibration)

2014.08.08 16:20

나공 조회 수:911

        평형화 개념  

조정 개념에서, 요동 제거를 총칭하는 용어, ‘평형화’ 개념에 기반한 독창적 배우기 이론이 나온다. 평형화에 대한 그의 후기 저작의 집중은, 삐아제가 왜 사이버네틱스에 흥미를 갖게 되었는가에 대한 이유다(Cellérier et al., 1968; Piaget, 1977b를 보라).

    네거티브 피드백이 작동하는 제어시스템은 선택 값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요동들을 제거하는 목적을 갖고 있다 (8장을 보라). 그 결과, 항상성[homeostasis: 시스템이 외부 변화들에 대해 자신의 평형을 달성하기 위한 조건들을 유지하기 위해 그 변화들에 반응하는 과정]은 제어공학에서 중심 주제가 되었다. 하지만, 삐아제가 출발부터 매우 명확히 한 건, <인지 맥락에서 꾸준히 유지되어야 할 것이, 온도계 설정온도나 혈액 혈당치처럼, 고정 값일 필요는 없다>는 점이었다. 그보다는, 자전거타기의 균형잡기처럼, 변하는 수치들 사이 관계나, 특정 함수(函數)에서 규칙적 변화가 더 잦은 것들이다. 

    인지발달은 평형화 확장하기(équilibration majorante)로 특징지어진다: 이 용어로 삐아제가 뜻한 건 ‘유기체가 제거할 수 있는 요동들의 범위 증가’다. 이러한 개념의 한 측면은 과학철학의 관심 대상이며, 과학 가르치기에서도 그렇다고 본다. 인지하기 주체가 전적으로 새로운 요동을 매번 제거할 때마다, 가능하며 때때로 벌어지는 일로, <앞서 확립되어 여타 요동들 제거에서 바이어블한 것으로 입증된> 개념이나 조작들과는 양립-불가능한 것으로 입증된 개념이나 조작을 그러한 평형 성취 조정 과정에 끌어들였음이 밝혀진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비일관성이 드러나는 경우, 자체로 상위의 개념적 수준, <즉, 반성으로 가용(可用)한 스킴들을 검토, 비교하는 수준>에 요동을 일으킨다. 가용한 스킴들에 대한 이러한 반성적 검토는 오늘날 심리학자들이 고안한 용어 ‘메타인지(metacognition)’로 가리키는 깜냥을 예지한, 그리고 포함한 것임을 주목하라. 

 이때, 이러한 상위수준의 요동은, 만족할 만한 평형을 회복할 수 있기 전, 하위수준의 재구성이 필요할 수도 있다. 

    과학의 역사는 이러한 종류의 많은 사례를 보여준다. 이를테면, 오늘날 이론 물리학자들한테 아주 곤혹스러운 것으로, 파동 개념에 기반한 모델은 일정 여건에서 빛의 현상에는 아주 잘 들어맞지만, 다른 실험 결과들 설명에 필요한 입자 이론과는 양립할 수 없다는 사실이 있다. 

    평형화에는 또 다른 면이 있는데, 그것은 명확히 진술되지는 않았지만 삐아제의 반복된 관찰에 함의되어 있다: <조정을 위한 가장 빈번한 계기들은 타자들과 상호작용으로 제공된다>. 이들 조정들이 요동들을 제거하고 있는 한, 이들 조정들은 개체의 개념 구조들에서만이 아니라, 사회적 상호작용의 영역에서도 평형을 이루어낸다. 삐아제가 이러한 함축적 귀결을 조금만 더 강조했다면, 그의 모델이 사회적 요소를 무시하고 있다는 그러한 피상적 비판은 대체로 피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간략한 설명으로 보여준 바와 같이, 스킴 이론에는 다른 과학적 설명들처럼 일정한 전제들이 수반된다. 이에 따라, 인지하기 유기체들은 최소한 다음 깜냥들을 지녀야 한다: 

 경험 흐름에서 재발하는 것들을 확립(構成-維持)시키는 능력과 그 능력 이상의 경향;
 여기에는, 이어, 적어도 2개의 진전된 깜냥이 수반된다: 경험들 상기하기와 복구하기(재연하기), 그리고 유사성과 차이에 대한 비교, 판단 능력; 그리고
 유기체는 특정 경험들을 더 ‘좋아한다’는 전제(先假定); 말인즉, 유기체는 몇몇 기본 가치들을 갖고 있음에 틀림없다.                 
 
    이들 특징들로, 삐아제 모델은 날카롭게 20세기 수많은 심리학자들과 충돌했으며, 고로, 그들은 반성, 목표–지향, 그리고 가치들을 고려한 여하한 언급도 피하고자 줄기차게 노력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과학(science) 나공 2014.08.18 2155
공지 물리학(physics) 나공 2014.08.18 1614
공지 존재론(ontology) 나공 2014.08.17 1817
공지 인식론(epistemology) 나공 2014.08.17 1749
공지 발생적 인식론(genetic epistemology) 나공 2014.08.17 1657
공지 적응(adaptation) 나공 2014.08.16 1588
공지 언어 습득(language acquisition) 나공 2014.08.16 1720
공지 언어(language) 나공 2014.08.16 1687
공지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나공 2014.08.16 1559
공지 번역(translation) 나공 2014.08.16 2656
공지 이성(reason) 나공 2014.08.16 2154
공지 도구주의(instrumentalism) 나공 2014.08.15 24422
공지 인지의 바이어빌러티(viability of cognition) 나공 2014.08.15 2552
공지 심적 조작(mental operation) 나공 2014.08.14 1656
공지 형이상학(metaphysics) 나공 2014.08.14 1665
공지 경험(experience) [1] 나공 2014.08.14 1701
공지 세계, 세상, 그리고 양자를 포괄하는 세상에 대한 구별 나공 2014.08.13 1880
공지 실재(reality) - 그 다의성을 맥락에 따라 일의적으로 확정하기 나공 2014.08.12 1775
공지 객관적 실재(objective reality) 나공 2014.08.12 5730
공지 객관성(objectivity) 나공 2014.08.12 1769
공지 상호작용(interaction) 나공 2014.08.12 1629
공지 사회적 상호작용(social interaction) 나공 2014.08.12 1589
공지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 나공 2014.08.12 1930
공지 실재의 구성(construction of reality) 나공 2014.08.11 2482
공지 수학(mathematics) 나공 2014.08.11 3493
공지 세기(counting) 나공 2014.08.11 7771
공지 기하학(geometry) 나공 2014.08.11 2761
공지 수 이론(number theory) 나공 2014.08.11 3069
공지 지각(perception) 나공 2014.08.11 2638
공지 칸트의 '선험적 기획'(Kant's 'Transcendental Enterprise) 나공 2014.08.11 2393
공지 감각(sensation) 나공 2014.08.11 2395
공지 가설적 모델들(hypothetical models) 나공 2014.08.11 1942
공지 개념적 분석(conceptual analysis) 나공 2014.08.10 2678
공지 가르치기 방법들(teaching methods) 나공 2014.08.10 5411
공지 급진적 구성주의(Radical Constructivism) 나공 2014.08.10 1723
공지 구성주의(Constructivism) 나공 2014.08.10 1690
공지 아이들(children) 나공 2014.08.09 1661
공지 재연(re-presentation) 나공 2014.08.09 1873
공지 언어적 상호작용들(linguistic interactions) 나공 2014.08.09 1937
공지 행위 스킴(action scheme) 나공 2014.08.08 1674
공지 상징들(symbols) 나공 2014.08.07 1856
공지 추상에 대한 삐아제 이론(Piagetian theory) 나공 2014.08.07 1571
공지 수학적 개념들(mathematical concepts) 나공 2014.08.07 1890
공지 추상(abstraction) 나공 2014.08.07 1661
공지 자아(self) 개념 나공 2014.08.07 1837
공지 알아차림(awareness) 나공 2014.08.06 1839
공지 주의(attention) 나공 2014.08.06 1680
43 과거 경험들 재연하기(Re-presenting past experiences) 나공 2014.08.09 7215
42 언어적 상호작용들(linguistic interactions) 나공 2014.08.09 1937
41 언어와 실재(language and reality) 나공 2014.08.09 783
40 의미 구성(The construction of meaning) 나공 2014.08.09 1151
39 언어 게임들(language games) 나공 2014.08.09 804
38 반성(reflection) 나공 2014.08.09 777
37 형식과 내용(form and content) 나공 2014.08.09 811
36 동등(equivalence) 나공 2014.08.09 776
35 개체 동일성(individual identity) 나공 2014.08.09 861
34 변화(change) file 나공 2014.08.09 878
33 실험관찰적 구성(empirical construction) 나공 2014.08.09 794
32 일반화하는 추상(generalizing abstraction) 나공 2014.08.08 831
31 일반화(generalization) 나공 2014.08.08 735
30 행위 스킴(action scheme) 나공 2014.08.08 1674
» 평형화(equilibration) 나공 2014.08.08 911
28 배우기(learning) 나공 2014.08.08 784
27 조정(accommodation) 나공 2014.08.08 805
26 도구적 배우기(instrumental learning) 나공 2014.08.08 750
25 동화(assimilation) 나공 2014.08.08 880
24 반사들(reflexes) 나공 2014.08.08 776
23 시기(단계) 이론(stage theory) 나공 2014.08.08 5276
22 발달 시기들(stages of development) 나공 2014.08.08 988
21 스킴 이론(scheme theory) file 나공 2014.08.08 951
20 상징들(symbols) 나공 2014.08.07 1856
19 추상에 대한 삐아제 이론(Piagetian theory) 나공 2014.08.07 1571
18 수학적 개념들(mathematical concepts) 나공 2014.08.07 1890
17 주의 반복하기(iterating attention) 나공 2014.08.07 804
16 추상적 수 개념들 나공 2014.08.07 771
15 추상(abstraction) 나공 2014.08.07 1661
14 지도 판독(map reading) 나공 2014.08.07 789
13 일차, 이차 성질 또는 속성들 나공 2014.08.07 967
12 모양(shape) 나공 2014.08.07 742
11 심적 조작들 나공 2014.08.07 899
10 칵테일 파티 효과(cocktail party effect) 나공 2014.08.07 857
9 자아(self) 개념 나공 2014.08.07 1837
8 꿈(dream) 나공 2014.08.07 807
7 의식(意識) 나공 2014.08.06 760
6 알아차림(awareness) 나공 2014.08.06 1839
5 주의(attention) 나공 2014.08.06 1680
4 자기-지시(self-reference) [1] 나공 2014.08.05 1015
3 원시시간과 원시공간(칸트의 아 프리오리 범주로서 시간과 공간에 대한 구성론자들의 대체물) 나공 2014.08.05 1161
2 "transcendental" 철학, 소위, "선험" 철학 [1] 나공 2014.08.05 1027
1 아 프리오리 추리(推理) 나공 2014.08.05 1018
구성에 성취가 있기를!

회원:
8
새 글:
0
등록일:
2014.06.19

오늘:
60
어제:
61
전체:
305,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