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게시판은 RC(1995)의 주제어 색인에 기초해서, 주제어에 따라 번역문들을 정렬, 연결한 것들이다.

변화(change)

2014.08.09 09:35

나공 조회 수:878

        변화 개념

적자(適者)가 우리 경험 세계를 만들어 갖추는데 있어 주요한 역할을 하는 개념 구조들 가운데 하나는 단어 ‘변화’로 지시된 개념이다. 언어 사용자가 자신의 개념들을 구축하는 방식을 우리가 주시할 수는 없지만, 그것들을 두 가지 작업으로 탐구할 수는 있다. 첫째, 그 단어로 묘사, 기술하고자 했던 상황들이 어떤 종류인지를 검토하라; 둘째, 그와 연합된 개념으로 일정한 경험적 상황들을 적절히 비추어 보기 위해서 편입시켜야 하는 요소들은 어떤 것들인지, 논리적 관점에서, 풀어보라. 변화 개념에 이 작업을 할 경우 즉시 말할 수 있는 것은, 우리한테 기억이 없다면 변화를 구상할 기회란 없을 것이란 점이다. 변화를 말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경험의 두 순간을 고려하고 차이를 하나 찾아야 한다.
 
    이러한 하나 이상의 경험의 필요는 이미 제논의 화살 역설에 내재되어 있었다. 날아가는 화살 하나를 주시하는 경우, 화살이 활을 떠나는 순간부터 움직이며 목표를 맞추는 순간까지 위치를 달리하는 것을 본다. 하지만, 화살이 나는 가운데 어떤 한 순간 그 화살에 주목할 경우, 그것은 움직이지 않는다. 제논이 영화를 알리는 없었겠지만, 오늘날 영화 형식으로 우리가 갖고 있는 것은 그가 제안했던 것의 완벽한 도해(圖解)다. 날아가는 화살을 보여주는 영화는 정지된 일련의 프레임들로 조성될 것이다. 각각의 프레임에서 정지된 화살들은 약간씩 다른 지점에 있는 것으로 보일 것이다. 한 장의 프레임만을 본다면, 화살이 움직이고 있다고 추측할 수도 있겠지만, 그것은 화살과 관련된 여타 경험들에서 유추로 얻은 추론일 것이다. 프레임 한 장 그 자체로는 여하한 운동(動勢)도 담을 수 없다. 

    이는 새로운 사실이 아니다. 제레미 벤담은 그 점을 명확히 진술했다:   

어떤 물체에 대해 ‘그 물체가 움직였다’고 말할 때, 의미하는 것은, 시간 영역(場)의 상이한 부분들에서 그 물체가 공간 영역(場)의 상이한 부분들을 차지했다는 점이다. (Bendam, in Ogden, 1959, p.115)

    운동에 대한 지식은 관찰자에 의해 경험 장에서 [동의 운영이 아닌 구성된 지각 현상으로서] 구성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나의 관심은 운동에 대한 지식에 있지, ‘실재하는’ 화살이 움직이는지 아닌지 하는 문제에 있지 않다는 것에 주의하라. 영화 필름이 훌륭한 도해(圖解)가 되는 까닭은, 정확히, 거기 있는 화살은 움직이지 않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영사된 필름을 볼 때 우리는 운동을 본다. 그래서 일어나는 의문: 이러한 경험은 어떻게 발생될 수 있을까?
 
    그 분석은, 필히, 우리한테는 최소한 두 장의 연이은 경험 프레임들이 필요하다는 사실에서 출발해야 한다. 케카토 방법은 각각의 프레임이 요청하는 최소 조건들 맵핑(寫像)시키기에 있다. 고로, 우리는 경험 흐름의 두 순간을 표시한다: t1과 t2. 

    ‘변화’를 말하려면, 또한, 차이 하나를 지각하거나 구상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테면, 색깔, 모양, 크기, 위치, 또는 등등의 것들에서 차이다. 프레임이 배경을 담고 있다면, 화살의 위치는 다른 보이는 아이템(項)들과 관계로 정의될 수 있다; 배경에 아무 것도 없다면, 화살 위치는 오직 그 프레임의 모서리들과 관계로만 정의될 수 있다. 두 장의 프레임이 같은 지점에 있는 화살을 보여줄 경우, 그 화살이 움직였다고 말할 수 없다. 위치에서 차이 자체로만은, 변화를 말하기에, 충분치 않다 – 그 차이는, 화살의 경우처럼, 우리가 움직였다고 말할 수 있는 어떤 사물의 속성이 되어야 한다. 

    화살 대신, 내가 작은 푸른 자두를 보이고 곧바로 좀 더 큰 검붉은 자두를 보이는 경우, 당신은 변화를 말하고픈 생각(意志)이 들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그 푸른 자두가 나무에 달려 있었고, 몇 주 후 당신이 그것을 다시 주시했을 때 검붉은 자두를 보았다면, 당신은 그것이 색깔이 변했다고, 실은, 그것이 익었다고 말할 것이다. 달리 말해, 개념 ‘변화’에는 경험 흐름의 두 순간에 ‘같은’ 대상으로 간주된 대상에서 지각된 차이 하나가 필요하다.

    하지만 같음이란, ‘대상 영속’의 맥락에서 설명한 것처럼, 보기와는 달리 그리 간단한 개념이 아니다. 

    윌리엄 제임스는 다음과 같이 만들어지는 결정적 구별을 예지했다: 
  
다시 영구적 ‘사물들’; ‘같은’ 사물 그리고 그것의 다양한 ‘현상들’과 ‘변형들’; 사물의 상이한 ‘종류들’ … 이들 개념 도구들을 자신의 경험 흐름에 적용해 실제 정돈하는 부분은 전적으로 극히 작다. 이들 도구들 가운데, 우리의 가장 저급한 조상들이 필시 유일하게, 그리고 가장 모호하고 부정확하게 사용했던 개념은, ‘또 같은 것’일 것이다. 하지만 그때 만약 그들한테 그 같은 것이 안 보이는 사이 내내 유지됐던 ‘사물’인지 아닌지 묻는다면, 그들은 필시 어쩔 줄 모르며, 자신들은 결코 그런 질문을 해본 적도, 그런 견지로는 소재(質料)들을 고려한 적도 없다 할 것이다. (James, 1907/1955, p.119)

    우리 당대의 많은 이들 역시 이러한 질문을 고려한 적이 없다. 식탁 위 와인 잔들이나 그 주위 의자들에 당신이 귀속시킬 수도 있는 같음은 ‘동등(同等)’의 같음일 것이며, 이것으로 변화를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변화 개념 구성에 수반되는 같음은 ‘개체 동일성’이어야 한다. 말하자면, 우리가 변했다고 말하고 싶은 그것은 반드시 두 프레임들에서 완전히 똑같은 개체여야 한다.   

    나는 이제 그 개념의 도식적 재현(再現)을, ‘X’로 화살 지시하기와 그것의 서로 다른 위치들 표시하기로, 완성할 수 있다. X가 연이은 프레임들에서 완전히 같은 화살(개체 동일성)을 지시하고 있다는 사실은, ‘=’ 대신, 아래 그림에서 ‘≡’ 등호로 보이고 있다. 

위치변화.jpg




    자두의 경우, 변화–도식(圖式)의 구조는 비슷하겠지만, 화살 경험에서 변화를 결정하는 위치들 대신, 서로 다른 색깔들이 t1과 t2에서 각각 X와 연합될 것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과학(science) 나공 2014.08.18 2155
공지 물리학(physics) 나공 2014.08.18 1614
공지 존재론(ontology) 나공 2014.08.17 1817
공지 인식론(epistemology) 나공 2014.08.17 1749
공지 발생적 인식론(genetic epistemology) 나공 2014.08.17 1657
공지 적응(adaptation) 나공 2014.08.16 1588
공지 언어 습득(language acquisition) 나공 2014.08.16 1720
공지 언어(language) 나공 2014.08.16 1687
공지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나공 2014.08.16 1559
공지 번역(translation) 나공 2014.08.16 2656
공지 이성(reason) 나공 2014.08.16 2154
공지 도구주의(instrumentalism) 나공 2014.08.15 24422
공지 인지의 바이어빌러티(viability of cognition) 나공 2014.08.15 2552
공지 심적 조작(mental operation) 나공 2014.08.14 1656
공지 형이상학(metaphysics) 나공 2014.08.14 1665
공지 경험(experience) [1] 나공 2014.08.14 1701
공지 세계, 세상, 그리고 양자를 포괄하는 세상에 대한 구별 나공 2014.08.13 1880
공지 실재(reality) - 그 다의성을 맥락에 따라 일의적으로 확정하기 나공 2014.08.12 1775
공지 객관적 실재(objective reality) 나공 2014.08.12 5730
공지 객관성(objectivity) 나공 2014.08.12 1769
공지 상호작용(interaction) 나공 2014.08.12 1629
공지 사회적 상호작용(social interaction) 나공 2014.08.12 1589
공지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 나공 2014.08.12 1930
공지 실재의 구성(construction of reality) 나공 2014.08.11 2482
공지 수학(mathematics) 나공 2014.08.11 3493
공지 세기(counting) 나공 2014.08.11 7771
공지 기하학(geometry) 나공 2014.08.11 2761
공지 수 이론(number theory) 나공 2014.08.11 3069
공지 지각(perception) 나공 2014.08.11 2638
공지 칸트의 '선험적 기획'(Kant's 'Transcendental Enterprise) 나공 2014.08.11 2393
공지 감각(sensation) 나공 2014.08.11 2395
공지 가설적 모델들(hypothetical models) 나공 2014.08.11 1942
공지 개념적 분석(conceptual analysis) 나공 2014.08.10 2678
공지 가르치기 방법들(teaching methods) 나공 2014.08.10 5411
공지 급진적 구성주의(Radical Constructivism) 나공 2014.08.10 1723
공지 구성주의(Constructivism) 나공 2014.08.10 1690
공지 아이들(children) 나공 2014.08.09 1661
공지 재연(re-presentation) 나공 2014.08.09 1873
공지 언어적 상호작용들(linguistic interactions) 나공 2014.08.09 1937
공지 행위 스킴(action scheme) 나공 2014.08.08 1674
공지 상징들(symbols) 나공 2014.08.07 1856
공지 추상에 대한 삐아제 이론(Piagetian theory) 나공 2014.08.07 1571
공지 수학적 개념들(mathematical concepts) 나공 2014.08.07 1890
공지 추상(abstraction) 나공 2014.08.07 1661
공지 자아(self) 개념 나공 2014.08.07 1837
공지 알아차림(awareness) 나공 2014.08.06 1839
공지 주의(attention) 나공 2014.08.06 1680
93 세상(A World behind The World Constructed) 나공 2014.08.13 849
92 칵테일 파티 효과(cocktail party effect) 나공 2014.08.07 857
91 개체 동일성(individual identity) 나공 2014.08.09 861
90 경험적-실재의 구성(The construction of experiential reality) 나공 2014.08.09 862
89 행동주의(behaviourism) 나공 2014.08.17 870
» 변화(change) file 나공 2014.08.09 878
87 동화(assimilation) 나공 2014.08.08 880
86 생물학(biology) 나공 2014.08.18 887
85 심적 조작들 나공 2014.08.07 899
84 의미론의 기초(The Semantic Basis) file 나공 2014.08.10 899
83 평형화(equilibration) 나공 2014.08.08 911
82 펄스들의 반복(An Iteration of Pulses) 나공 2014.08.10 913
81 트레이닝보다는 가르치기(Teaching rather than Training) 나공 2014.08.10 918
80 지침보다는 도움(Help rather than Instruction) 나공 2014.08.10 940
79 스킴 이론(scheme theory) file 나공 2014.08.08 951
78 일차, 이차 성질 또는 속성들 나공 2014.08.07 967
77 발달 시기들(stages of development) 나공 2014.08.08 988
76 소크라테스 이전 학파들(The Pre-Socratics) 나공 2014.08.11 1004
75 자기-지시(self-reference) [1] 나공 2014.08.05 1015
74 아 프리오리 추리(推理) 나공 2014.08.05 1018
73 "transcendental" 철학, 소위, "선험" 철학 [1] 나공 2014.08.05 1027
72 벤담과 비코 - 개념 분석의 개척자들(Bentham and Vico - Pioneers of Conceptual analysis) 나공 2014.08.10 1050
71 경험론 또는 실험관찰론(empiricism) 나공 2014.08.17 1066
70 회의주의 또는 회의론(scepticism) 나공 2014.08.14 1081
69 상징들의 가리키기 권능(The 'Pointing Power' of Symbols) 나공 2014.08.10 1095
68 반성적 추상(reflective abstraction) 나공 2014.08.16 1100
67 의미 구성(The construction of meaning) 나공 2014.08.09 1151
66 상징의 권능(power of symbols) 나공 2014.08.09 1159
65 원시시간과 원시공간(칸트의 아 프리오리 범주로서 시간과 공간에 대한 구성론자들의 대체물) 나공 2014.08.05 1161
64 지각이기보다는 구상(Conception Rather Than Perception) file 나공 2014.08.10 1185
63 추상의 네 가지 종류(four kinds of abstrction) 나공 2014.08.09 1276
62 관찰자와 관찰된 것들(The Observer and The Observed) 나공 2014.08.11 1278
61 능동적 구성(Active Construction) 나공 2014.08.11 1304
60 삐아제의 추상 이론(Piaget's Theory of Abstraction) 나공 2014.08.11 1352
59 생물학적 전제(The Biological Premise) 나공 2014.08.11 1353
58 발견되는 삐아제(Discovering Piaget) 나공 2014.08.11 1368
57 은퇴와 새출발(Retirement and a new Begining) 나공 2014.08.11 1380
56 데카르트의 실패와 성취(A Failure and Achievement of Descartes) 나공 2014.08.11 1404
55 결정적 우정(Decisive Friendship) 나공 2014.08.11 1421
54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나공 2014.08.16 1559
53 추상에 대한 삐아제 이론(Piagetian theory) 나공 2014.08.07 1571
52 심적 조작에서 실재의 구성까지(From Mental Operations to the Construction of Reality) 나공 2014.08.11 1582
51 적응(adaptation) 나공 2014.08.16 1588
50 사회적 상호작용(social interaction) 나공 2014.08.12 1589
49 물리학(physics) 나공 2014.08.18 1614
48 상호작용(interaction) 나공 2014.08.12 1629
47 버클리에 대한 재해석 하나(A Reinterpretation of Berkeley) 나공 2014.08.11 1649
46 심적 조작(mental operation) 나공 2014.08.14 1656
45 발생적 인식론(genetic epistemology) 나공 2014.08.17 1657
44 추상(abstraction) 나공 2014.08.07 1661
구성에 성취가 있기를!

회원:
8
새 글:
0
등록일:
2014.06.19

오늘:
11
어제:
62
전체:
305,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