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게시판은 RC(1995)의 주제어 색인에 기초해서, 주제어에 따라 번역문들을 정렬, 연결한 것들이다.

의미 구성(The construction of meaning)

2014.08.09 14:42

나공 조회 수:1151

        의미 구성

구성론적 조망에서, 모양 파악(把握)을 위해서는, 지각된 윤곽(이를테면, 색이나 결의 차이로 형성된 경계) 쫓는 손가락이나 시각적 주의의 운동(動勢) 그리고 그때 그 운동에서 패턴 추상하기가 필요하다. 요컨데, 모양은 지각자가 이행을 완료한 행위 패턴이다. 

    그의 작업 내내, 비트겐쉬타인이 찾고 있었던 것은 일찍이 그의 철학적 탐구에서 제기했던 질문에 대한 답이었다: ‘이름과 이름 붙여진 것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par.37). 100쪽 이상 지난 후, 그는 묻는다: 

모든 기호는 자체로는 죽은 것 같다. 그것에 생기를 부여하는 것은 무엇인가? – 사용되는 가운데 그것은 살아있다. 그 가운데 생기가 주입되는가? – 아니면, 그 사용이 그 생기인가? (Wittgenstein, 1953; par.432, p.128e)   

    <언어-게임과 사용으로서-의미> 개념들은 언어적 상호작용들에 대한 완벽히 바이어블한 기술을 제공하지만, 개체로서 언어 사용자가 어떻게 상호작용 가운데 숙달된 사용자가 되는지는 설명하지 않고 있다.

    비트겐쉬타인 역시, 단어의 ‘사용’이란, 특정 인물의 연합된 경험들 불러내기를 주요 특징으로 하는 개체적이며 사적인 것이라 생각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다. 그는 이 점을 그의 학생용 주석들 앞부분에 길게 언급했지만, 이러한 심적 깜냥과 관련해서는 불가사의한 것이 있으며, 고로, 그것은 피해야 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것을 피할 수 있는 수단으로 그가 희망했던 것은, <특정 언어 표현의 의미는 특정 사회 집단이 자신들의 언어 게임들에서 그 표현을 사용하는 방식을 관찰함으로써 포착될 수 있다>는 점을 당연시하는 것이었다. (1958, pp.3–5). 

    이는, 내 생각으로, 환상이었다. 의심할 바 없이 우리 세기(世紀) 가장 예리한 지성들 가운데 하나였던 비트겐쉬타인은, 죽는 순간까지, 자신의 의미와 진리 개념에 논리적 확실성을 부여하고자 분투했지만, 그의 마지막 메모 공책(1969) 마지막 페이지들은 그가 주관적 요소들을 제거하는 데 성공치 못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주관적 요소들이 불가피한 까닭은, 의미론적 연결, 즉, 소리–이미지와 의미 묶기는 각각의 개별 화자가 능동적으로 형성해야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 뇌의 한편을 점한 말–소리는, 그것의 산출에 요청되는 발화 기관들의 구체적 운동들과 연합될 때조차도, 언어 요소가 되기에는 아직 부족하다. 그것이 어떤 요소 경험이나 일군의 요소 경험, 이른바, 시각 이미지나 일단의 시각 이미지들 또는 관계에 대한 느낌과 반드시 연합되고 난 이후에야, 그것은 기본적으로나마 언어적 의미를 갖게 된다. (Sapir, 1921, p.10)

    당신은 두 페이지 앞에서 단어 ‘무소’를 읽으며 내가 무슨 게임을 하고 있는지 또는 내가 그 단어를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 몰랐다. 그럼에도, 당신은 당신의 재연을 산출했다. 그것이 당신 것임을 내가 강조하는 까닭은, 과거 어떤 시점에 그것을 당신 자신의 경험에서 추출하거나 추상했던 이는 바로 당신이기 때문이다. 읽는 그 순간, 당신이 사용하는 그 단어로 ‘불어 넣어진 생기’란 바로 이러한 재연(再演)이었다.

    그 단어와 그 단어가 불러낸 당신의 경험 요소 사이 당신의 연합 형성은, 타자들이 그 단어를 사용하는, 당신이 들었던, 방식에 근거(根據)했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하지만, 그것은 단순한 전송이 아니었으며, 결단코 아니다. 당신 말고, 당신의 연합들을 만들 수 있는 이는 없으며, 당신 말고는, 당신 경험 장에서 당신의 소리–이미지와 당신의 개념을 격리 또는 해체시킬 수 없다. 당신이 그 두 아이템을 격리해내 연합시켰던 근거(根據)는, 어떤 이의 책 속 어떤 동물 그림 가리키기, 그리고, 당신한테는 새로운 것이었을, 그의 말-소리들 내뱉기와 같은 단순한 것이었을 수 있다; 혹은, 뿔 돋은 피조물이 덤불을 가르며 갑자기 당신 앞의 평화로운 전경에 들이닥치자 당신의 사파리 안내자가 ‘오, 무소’하고 외쳤던 것이었을 수도 있다.

    그밖에 의미 구성들에서, 이를테면, <추상적 개념과 단어 ‘수’>의 연합 형성하기에서는, 당신 자신의 심적 조작들에 대한 여러 단계의 반성이 요청될 것이다 (9장을 보라). 모든 경우, 당신의 명확한 소리-이미지 구성을 위한 언어 소리 산출자로서 화자뿐만 아니라, 특정 경험 맥락(狀況)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한편에는 단어들을, 다른 한편에는 개념과 재연들을 두고 그 사이에 의미론적 연결들을 형성하는 것에는 사회적 성분이 정말 필수적이다. 그렇지만, 일단 그러한 연결이 형성되고 나면, 그 단어는 그 언어 사용자가 그/그녀 자신의 마음에서 그 단어와 연합시켰던 오직 <재연을 야기하는> 특정 소재만을 가리키거나 불러낸다. 고로, 단어들에 생기를 주는 것은 바로 그것들을 사용하는 것이지만, 그것들을 사용하기 위해 타자들이나 사회적 맥락(狀況)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 누구든 자기 자신의 생각하기, 꿈꾸기, 그리고 말하기에서 원할 경우 언제든 단어들은 사용된다.
    2장에서 비코의 관념들 몇몇을 제시하며, 그가 만든 <단어의 일상적 사용과 은유적 사용>이라는 유용한 구별에 대해 간략히 언급했다. 일상 용법에서, 단어들은 경험의 요소들 그리고 경험에서 추상된 개념들을 가리키고자 한다. 은유적 용법에서, 그것들은 경험 너머 상상의 세상을 가리키고자 한다. 후자는 시인과 신비주의자들의 모드(樣式)다. 버나드 쇼는 이를 그의 성 쟌다르크에서 반대 심문 가운데 몇 줄로 더없이 멋지게 기술했다:   

쟌: … 내 안에서 들리는 소리에 대해 따지지 말라.    
로버트 (심문자): 무슨 말이냐?  그 소리라는 게?
쟌: 내가 할 일을 전하는 소리다. 하나님한테서 오는 것이다.
로버트: 그건 너의 상상력에서 나온 거다. 
쟌: 맞다, 그게 바로 하나님의 메시지가 우리한테 오는 방식이다.
    (Shaw, St. Joan 1923, Scene I)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과학(science) 나공 2014.08.18 2155
공지 물리학(physics) 나공 2014.08.18 1614
공지 존재론(ontology) 나공 2014.08.17 1817
공지 인식론(epistemology) 나공 2014.08.17 1749
공지 발생적 인식론(genetic epistemology) 나공 2014.08.17 1657
공지 적응(adaptation) 나공 2014.08.16 1588
공지 언어 습득(language acquisition) 나공 2014.08.16 1720
공지 언어(language) 나공 2014.08.16 1687
공지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나공 2014.08.16 1559
공지 번역(translation) 나공 2014.08.16 2656
공지 이성(reason) 나공 2014.08.16 2154
공지 도구주의(instrumentalism) 나공 2014.08.15 24422
공지 인지의 바이어빌러티(viability of cognition) 나공 2014.08.15 2552
공지 심적 조작(mental operation) 나공 2014.08.14 1656
공지 형이상학(metaphysics) 나공 2014.08.14 1665
공지 경험(experience) [1] 나공 2014.08.14 1701
공지 세계, 세상, 그리고 양자를 포괄하는 세상에 대한 구별 나공 2014.08.13 1880
공지 실재(reality) - 그 다의성을 맥락에 따라 일의적으로 확정하기 나공 2014.08.12 1775
공지 객관적 실재(objective reality) 나공 2014.08.12 5730
공지 객관성(objectivity) 나공 2014.08.12 1769
공지 상호작용(interaction) 나공 2014.08.12 1629
공지 사회적 상호작용(social interaction) 나공 2014.08.12 1589
공지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 나공 2014.08.12 1930
공지 실재의 구성(construction of reality) 나공 2014.08.11 2482
공지 수학(mathematics) 나공 2014.08.11 3493
공지 세기(counting) 나공 2014.08.11 7771
공지 기하학(geometry) 나공 2014.08.11 2761
공지 수 이론(number theory) 나공 2014.08.11 3069
공지 지각(perception) 나공 2014.08.11 2638
공지 칸트의 '선험적 기획'(Kant's 'Transcendental Enterprise) 나공 2014.08.11 2393
공지 감각(sensation) 나공 2014.08.11 2395
공지 가설적 모델들(hypothetical models) 나공 2014.08.11 1942
공지 개념적 분석(conceptual analysis) 나공 2014.08.10 2678
공지 가르치기 방법들(teaching methods) 나공 2014.08.10 5411
공지 급진적 구성주의(Radical Constructivism) 나공 2014.08.10 1723
공지 구성주의(Constructivism) 나공 2014.08.10 1690
공지 아이들(children) 나공 2014.08.09 1661
공지 재연(re-presentation) 나공 2014.08.09 1873
공지 언어적 상호작용들(linguistic interactions) 나공 2014.08.09 1937
공지 행위 스킴(action scheme) 나공 2014.08.08 1674
공지 상징들(symbols) 나공 2014.08.07 1856
공지 추상에 대한 삐아제 이론(Piagetian theory) 나공 2014.08.07 1571
공지 수학적 개념들(mathematical concepts) 나공 2014.08.07 1890
공지 추상(abstraction) 나공 2014.08.07 1661
공지 자아(self) 개념 나공 2014.08.07 1837
공지 알아차림(awareness) 나공 2014.08.06 1839
공지 주의(attention) 나공 2014.08.06 1680
193 아 프리오리 추리(推理) 나공 2014.08.05 1018
192 "transcendental" 철학, 소위, "선험" 철학 [1] 나공 2014.08.05 1027
191 원시시간과 원시공간(칸트의 아 프리오리 범주로서 시간과 공간에 대한 구성론자들의 대체물) 나공 2014.08.05 1161
190 자기-지시(self-reference) [1] 나공 2014.08.05 1015
189 주의(attention) 나공 2014.08.06 1680
188 알아차림(awareness) 나공 2014.08.06 1839
187 의식(意識) 나공 2014.08.06 760
186 꿈(dream) 나공 2014.08.07 807
185 자아(self) 개념 나공 2014.08.07 1837
184 칵테일 파티 효과(cocktail party effect) 나공 2014.08.07 857
183 심적 조작들 나공 2014.08.07 899
182 모양(shape) 나공 2014.08.07 742
181 일차, 이차 성질 또는 속성들 나공 2014.08.07 967
180 지도 판독(map reading) 나공 2014.08.07 789
179 추상(abstraction) 나공 2014.08.07 1661
178 추상적 수 개념들 나공 2014.08.07 771
177 주의 반복하기(iterating attention) 나공 2014.08.07 804
176 수학적 개념들(mathematical concepts) 나공 2014.08.07 1890
175 추상에 대한 삐아제 이론(Piagetian theory) 나공 2014.08.07 1571
174 상징들(symbols) 나공 2014.08.07 1856
173 스킴 이론(scheme theory) file 나공 2014.08.08 951
172 발달 시기들(stages of development) 나공 2014.08.08 988
171 시기(단계) 이론(stage theory) 나공 2014.08.08 5276
170 반사들(reflexes) 나공 2014.08.08 776
169 동화(assimilation) 나공 2014.08.08 880
168 도구적 배우기(instrumental learning) 나공 2014.08.08 750
167 조정(accommodation) 나공 2014.08.08 805
166 배우기(learning) 나공 2014.08.08 784
165 평형화(equilibration) 나공 2014.08.08 911
164 행위 스킴(action scheme) 나공 2014.08.08 1674
163 일반화(generalization) 나공 2014.08.08 735
162 일반화하는 추상(generalizing abstraction) 나공 2014.08.08 831
161 실험관찰적 구성(empirical construction) 나공 2014.08.09 794
160 변화(change) file 나공 2014.08.09 878
159 개체 동일성(individual identity) 나공 2014.08.09 861
158 동등(equivalence) 나공 2014.08.09 776
157 형식과 내용(form and content) 나공 2014.08.09 811
156 반성(reflection) 나공 2014.08.09 777
155 언어적 상호작용들(linguistic interactions) 나공 2014.08.09 1937
154 언어 게임들(language games) 나공 2014.08.09 804
» 의미 구성(The construction of meaning) 나공 2014.08.09 1151
152 언어와 실재(language and reality) 나공 2014.08.09 783
151 과거 경험들 재연하기(Re-presenting past experiences) 나공 2014.08.09 7215
150 에이전트의 필요(The need of agent) 나공 2014.08.09 808
149 추상의 네 가지 종류(four kinds of abstrction) 나공 2014.08.09 1276
148 상징의 권능(power of symbols) 나공 2014.08.09 1159
147 재연(re-presentation) 나공 2014.08.09 1873
146 경험과 실재(experience and reality) 나공 2014.08.09 795
145 경험적-실재의 구성(The construction of experiential reality) 나공 2014.08.09 862
144 종잡기 힘든 정의(An Eluisive Definition) 나공 2014.08.09 807
구성에 성취가 있기를!

회원:
8
새 글:
0
등록일:
2014.06.19

오늘:
11
어제:
62
전체:
305,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