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게시판은 RC 관련 용어들과 NHK의 번역 지침들이다.

저 '이', 그 '이', 이 '이' 할 때,

'이'는 사람을 가리키는 단어다.


영어에서, 각각

'정신'과 '마음'으로 주로 번역되는 

'spirit'과 'mind'가, 맥락에 따라,

우리말, '이'에 해당되는 경우가 있다.


해당 맥락에서,

굳이 사람을 가리키는 다른 단어들을

사용하지 않고,

두 용어를 사용한 것은,

전자는, 어떤 조작, 또는 생각의 주체를,

후자는, 각각이 다른 생각을 가진 주체를,

의미하는 경우들이다.


용례를 보면,


내가 쓰고 말하고 있는 탁자는 실존한다, 즉 나는 보고 느낀다, 그것을; 그리고 서재 밖으로 나가서도, 나는 그것은 실존하고 있다고 말해야 한다; 이로써, 내가 서재에서는 그것을 지각할 수 있다는 뜻이며, 또한 다른 이(spirit)도 그것을 실제 지각할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Berkeley, 1710)


 이들은 각자 전혀 다른 방식으로 전통적 인식론은 

이제 더 이상 유지될 수 없다는 결론에 이르렀던 이들이었다

그러나, 고도로 독창적인 이(mind)들이 모인 곳에서 자주 그런 것처럼,


실상, 한국어에서는,

두 번째 용례에서 마음으로 직역한다 한들,

전혀 문제될 것이 없다.


내가 보기에,

단어 '마음'의 용법은, 

영어 'mind'보다 훨씬 더 광범위 하며,

이는 불교 문화의 영향이라고 생각된다. 

編號 標題 作者 日期 點閱
公告 단어 '운동'의 다의성 나공 2014.07.16 1245
公告 용어 '것(entity)'와 '항(item)'의 공통점과 차이 나공 2014.07.06 1253
公告 용어 'kinaesthesia(키네스띠지아)'와 'proprioception(프러프리오셉션)'에 합당한 번역어 나공 2014.07.02 1404
公告 용어 'scheme'를 소리나는 대로 '스킴'으로 표기하는 이유 나공 2014.07.02 1613
公告 'reflection'의 연장과 번역어의 불일치 나공 2014.06.28 1082
公告 '재현' 또는 '표상'의 핵심 의미 나공 2014.06.26 2180
公告 '것'으로 번역된 '엔터티' 나공 2014.06.23 1037
公告 '바이어블'과 '바이어빌러티' 나공 2014.06.23 1166
42 우리말 '생각'의 다의성과 '생각'의 어원에 대한 추측 하나 나공 2014.07.22 1647
41 단어 '운동'의 다의성 나공 2014.07.16 1245
» 우리말 '이'의 용법과 영어 대응어 나공 2014.07.09 945
39 영어 'active'와 번역어 '능동적'의 차이 나공 2014.07.06 1240
38 '통상적, 일반적, 보편적'에 대한 구별 나공 2014.07.06 2040
37 용어 'unity'에 대한 '수 관련 맥락'에서 번역어 '하나' 나공 2014.07.06 927
36 영어 'being'과 'existence'의 맥락에 따른 구별 나공 2014.07.06 6473
35 용어 '것(entity)'와 '항(item)'의 공통점과 차이 나공 2014.07.06 1253
34 단어 '확립하다(establish)'가 의미, 개념, 구조에 쓰일 때 의미 나공 2014.07.05 1413
33 용어 '전제/가정'의 용법들 차이에도 불구하는 공통되는 의미 나공 2014.07.04 1226
32 환상과 망상의 구별 나공 2014.07.04 1202
31 필요의 강도에 따른 구별과 강제 또는 의무와 선택의 구별 나공 2014.07.04 1091
30 단어 'aware'에 대한 이해: 알아차리기의 의미 나공 2014.07.03 1233
29 용어 'reflective abstraction'을 '반성적 추상'으로 번역하는 이유 나공 2014.07.03 1107
28 'human science(인간(科)학)'에 대한 설명 하나 나공 2014.07.03 973
27 1차적 의미와 2차적 의미의 구별 나공 2014.07.03 1197
26 용어 '경험론'에 대한 일반적 설명 하나 나공 2014.07.03 882
25 'same'과 'self-same'을 구별할 때, 우리말 번역어 사용시 혼동 나공 2014.07.02 1755
24 영어 'practice'나 'practical'의 의미 연장 패턴과 같은 번역어는 없다. 나공 2014.07.02 1842
23 형용사 어미로 무차별적으로 쓰이는 '~적'에 대한 주의 나공 2014.07.02 1299

會員:
8
N:
0
登錄日期:
2014.06.19

今天:
38
昨天:
63
總共:
285,8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