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게시판은 RC 관련 용어들과 NHK의 번역 지침들이다.

kinaesthesia(키네스띠지아)proprioception(프러프리오셉션) 모두,

외부 자극 신호로 조성된 것들이 아닌 내부 발생 신호들로 구성된 것들로,

공간과 방향, 그리고 운동 지각과 결부된다.


전자는 사지 관절의 능동적 발동 신호로 발생된 근운동으로 야기된 

신호들로 조성된 감각들이며, 


후자는 유기체의 마음 혹은 의지와는 무관하게 

내부 물질 대사로 발생한 자극으로 생겨난 신호들로 조성된 감각이다.


그래서

전자를 근운동감각(사지운동감각)’으로

후자는 자체발생감각으로 옮긴다


후자는,  

자기수용감각이라고 번역되는 경우가 많으나, 

수용감각이 의미가 겹치며

발생적 측면은 드러나지 않는 관계로 자체발생감각을 택했다.


이 둘은 항상은 아니지만, 통상, 함께 작용한다.

이를테면,

침이 나오는 걸 느끼는 것은 후자지만, 

설근 운동을 발동시켜 침이 나오는 것을 느끼는 것은 

전자로 야기된 후자를 느끼는 것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단어 '운동'의 다의성 나공 2014.07.16 1245
공지 용어 '것(entity)'와 '항(item)'의 공통점과 차이 나공 2014.07.06 1253
» 용어 'kinaesthesia(키네스띠지아)'와 'proprioception(프러프리오셉션)'에 합당한 번역어 나공 2014.07.02 1404
공지 용어 'scheme'를 소리나는 대로 '스킴'으로 표기하는 이유 나공 2014.07.02 1613
공지 'reflection'의 연장과 번역어의 불일치 나공 2014.06.28 1082
공지 '재현' 또는 '표상'의 핵심 의미 나공 2014.06.26 2180
공지 '것'으로 번역된 '엔터티' 나공 2014.06.23 1037
공지 '바이어블'과 '바이어빌러티' 나공 2014.06.23 1166
42 마음 secret 나공 2014.06.23 8
41 프레임워크 나공 2014.06.23 380
40 ‘revelation’의 연장을 번역어는 감당할 수 없다. 나공 2014.06.27 531
39 'idea'와 '관념'의 상응, 그리고 불일치 나공 2014.06.27 534
38 파악(把握)으로 지시할 수 있는 것들 나공 2014.06.23 540
37 용어 '합리론'에 대한 위키 설명에서 구성론이 받아들일 수 있는 것 나공 2014.07.01 564
36 용어 '관념론'에 대한 위키 설명에서 구성론이 받아들일 수 있는 것 나공 2014.07.01 572
35 'collection'과 '수집'의 불일치 나공 2014.06.28 572
34 용어 'utilitarianism'에 대한 설명 하나, 그리고 '공리적(utilitarian)'의 용법 나공 2014.07.02 628
33 용어 'meta-cognition'에 대한 설명 하나 나공 2014.07.02 636
32 '감각운동(적)'으로 번역되는 'sensorimotor' 나공 2014.06.23 640
31 용어 '유아론'에 대한 설명과 관련해서 RC와 비교되는 점 나공 2014.07.01 737
30 '규범적 윤리들(normative ethics)'에 대한 설명 하나, 그리고 RC의 윤리 나공 2014.07.02 812
29 '수반'과 '동반' 구별에서 상기할 점 나공 2014.06.28 854
28 용어 '경험론'에 대한 일반적 설명 하나 나공 2014.07.03 882
27 용어 'unity'에 대한 '수 관련 맥락'에서 번역어 '하나' 나공 2014.07.06 927
26 우리말 '이'의 용법과 영어 대응어 나공 2014.07.09 945
25 'human science(인간(科)학)'에 대한 설명 하나 나공 2014.07.03 973
24 '것'으로 번역된 '엔터티' 나공 2014.06.23 1037
23 용어 'accommodation'의 번역어로서 '조정'과 '조절'에 대한 택일 문제에 대해 나공 2014.07.02 1039

회원:
8
새 글:
0
등록일:
2014.06.19

오늘:
38
어제:
63
전체:
285,8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