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찍이 유럽 중심부에 위대한 제국이 있었다. 그 제국은 매우 많은 그래서 아주 다양한 문화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해서, 여하한 문제에 대해서도 상식적 해결이란 있을 수 없었고 어이없거나 터무니없이 사는 것만이 단 하나의 가능한 삶의 방식이 되었다. 하여, 그 주민들 -- 독자들은 이미 짐작했을 바, 오스트리아-헝가리인들 -- 은 가장 단순한 문제들조차도 합리적으로 대처할 수 없는 무능(無能)으로, 그렇지만, 또한 거의 아무 것도 하지 않는 식으로 어떻게든 불가능한 것들을 성취하는 그들 능력으로 유명했다. 재치 있는 이가 주장하길, 영국은 결정적인 전투 빼고는 모든 전투에서 패한다; 오스트리아는 가망 없는 전투 빼고는 모든 전투에서 패한다. (약간 놀라운 바, 최고 무공훈장이 전체 전략과는 완전히 상반된 작전을 행함으로써 패배의 수렁에서 승리를 낚아챈 장교들한테 수여되었다는 거다.)
그 위대한 제국은 이제 조그만 나라가 되었지만, 어이없거나 터무니없음은 그 주민들의 삶의 태도에 남아 있으며, 이 책자의 저자도 예외는 아니다. 그들 모두한테, 삶은 희망없는 것, 하지만 심각(深刻)한 것이 아니다.
바츨라빅의 "The situation is hopeless, but not serious"의 에피그라프
RC에 속하는 또는 관련된 책과 논문들
2014.04.14 20:46
바츨라빅의 "상황은 절망적, 하지만, 심각하지 않다"의 에피그라프
閲覧数 2019 推奨数 0 コメント 0
番号 | カテゴリ | タイトル | 投稿者 | 日付 | 閲覧数 |
---|---|---|---|---|---|
15 | RC로 빠르게 방향짓기 위한 리글러의 요지 - RC의 공통된 4개의 공준 | 나공 | 2014.04.17 | 48238 | |
» | 바츨라빅의 "상황은 절망적, 하지만, 심각하지 않다"의 에피그라프 | 나공 | 2014.04.14 | 2019 | |
13 | 고든 파스크의 '상응, 여론, 일관성, 그리고 민주주의 파괴' | 나공 | 2014.04.14 | 2343 | |
12 | K.M. Sayre의 "사이버네틱스" | 나공 | 2014.04.14 | 2641 | |
11 | 사이버네틱스 역사 계통도 v.1.0 | 나공 | 2014.04.14 | 1867 | |
10 | 고든 파스크 선생의 사이버네틱스 | 나공 | 2014.04.14 | 3657 | |
9 | 형식의 법칙들 | 나공 | 2014.04.14 | 3059 | |
8 | 발생적 인식론 | 나공 | 2014.04.14 | 2014 | |
7 | 추납(abduction)에 대해: 그레고리 베이트슨의 'Mind and Nature' 5장, 3절 | 나공 | 2014.04.14 | 2568 | |
6 | Constructivism Foundations 한글 목차: vol 1 ~ vol 8(3)까지 | 나공 | 2014.04.14 | 4990 | |
5 | How rea lis real? | 1-3. 혼동의 이득들 | 나공 | 2011.03.13 | 2399 |
4 | How rea lis real? |
1-2. 역설들
![]() |
나공 | 2011.03.06 | 6308 |
3 | How rea lis real? | 1-1. 번역의 고통 | 나공 | 2011.03.01 | 7213 |
2 | How rea lis real? | 서문 | 나공 | 2011.02.28 | 6771 |
1 | How rea lis real? | 폴 바츨라빅의 "How real is real?" | 나공 | 2011.02.27 | 1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