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른스트 폰 글라저스펠트의 책과 논문들과 NHK의 번역을 모은 게시판

 

과학적 지식과 시적 지식의 통약불가능성*


 

Ernst von Glasersfeld

Scientific Reasoning Research Institute
University of Massachusetts


 

*1994년 4월 리스본의 삐아제 연구소에서 행해진

 <과학, 신비주의, 시, 그리고 의식에 대한 국제 회의>에서

연설된 내용을 확충한 번역

 

 


80년 전버틀란트 러셀은 이러한 병치(竝置)에 고유(固有)한 문제들에 대해 그의 책 "신비주의와 논리학"에서 진전시켰던 논의의 기초를 설명했습니다두 지식을 다루는 영역들은 전혀 다르지만과학적 지식과 시적 지식의 병치로 각 영역에서 제기된 문제들은 정말 비슷하며내 믿기로같은 출발점에서 접근할 수 있습니다실상러셀이 분명히 했던 바로신비주의 요소들을 논리로 다루는 시도들은 형이상학 분야에서 항상 있었으며용어 "형이상학"에는 종교의 신비적 유산만이 아니라 예술 영역에서 신비스러운 모든 것까지 포함됩니다.

 

러셀의 정의는 대다수 철학자들에 내가 동의하지 않는 점을 정확히 정식화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그래서러셀 텍스트의 관련 인용구에서 시작하겠습니다:

 

형이상학 혹은 생각으로 세상을 전체(全體)로 구상하려는 시도는그 시작부터사람들을 한편으로는 신비주의로 다른 편에서는 과학으로 내달리도록 한 매우 다른 두 가지 인간 충동의 융합과 갈등으로 말미암아 발전했다어떤 이들은 이들 충동들 중 하나만으로 위대성을 성취했고또 다른 이들은 나머지 하나만으로 그러했다이를테면흄이 과학적 충동에 전혀 점검받지 않은 채 사로잡혔던 반면블레이크한테는 과학에 대한 강한 적대감과 심오한 신비적 통찰력이 공존했다그러나 철학자로 위대했던 이들은 과학과 신비주의 둘 다 필요하다고 느꼈다그 둘을 조화시키려는 시도는그들 한 평생이 되어항상 철학을몇몇한테는엄청난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필히 과학이나 종교보다 위대한 것으로 만들어냈다. (러셀, 1917/1986, p.20)

 

나의 불일치는 마지막 문장에서 비롯됩니다나는 위대한 철학자들이 신비적인 것들과 과학적인 것들을 하나로 통합하는 방식을 찾으려 했다는 관찰에는 동의합니다그러나 내 관점에서인식론에서 그들 진전을 가로막았던 것은정확히처음부터 신비주의에 자리를 배정했기 때문이었습니다신비주의자의 지혜를 이성의 도구로 분석하려는 시도는 예외없이 이중의 실패로 귀결됩니다한편으로는경험을 분리된명기할 수 있는부분들로 분절시키기 때문에 신비주의자들의 통일성 혹은 전체성에 대한 혜안을 뭉개버리며또 다른 한편으로그러한 시도는 사적 경험에 바탕을 두고 미심쩍게 정의된 용어들을 허용하기에 합리적 사고 규칙들을 손상시키게 됩니다.

 

비트겐쉬타인은 이러한 막다른 곤경을 그의 유명한 금칙으로 표현했습니다:

 

말할 수 없는 무엇그에 대해서는 침묵하라.

(Wittgenstein, 1933; p.189.)

 

이 방식을 택할 경우말할 수 없는 무엇과 말할 수 있는 것을 구별하는 건 쉽다는 생각이 들 수도 있습니다그러나 이러한 구별은 결코 쉽게 보이지 않습니다아무 것도 말할 수 없는 상황에서 말하고 싶은 어떤 것을 표현하고 있는 자신을 알아차릴 때마다그러한 구별은 모습을 드러냅니다.

 

이러한 딜레마는 회화음악에서 우리를 감동시킨 것이 정확히 무엇인지를 설명하고 싶을 때 필시 아주 자주 생겨납니다우리는 색채에 대해구도조음연계의 장점에 대해상징의 권능에 대해그리고 박식한 역사가와 비평가들한테서 주워들었던 모든 것들을 말하려 합니다 하지만그때 작품에 대한 정서적 반응과 심취를 야기한 실제 원인에는 근접조차 하지 못하고 있음을 깨닫습니다결국그저 "나는 그것을 설명할 수 없습니다그것은 이 세상 게 아닙니다라고 말하는 것 밖에 없습니다.

 

50년 전표현 "sublime(崇高)"을 사용했습니다이 단어의 라틴어 어원, “sublimare: 위로 들어 올리다를 알아차리지 못했을지라도 같은 뜻으로 썼을 것입니다이 경우당연문자로로 명기(明記)할 수 있는 한계를 넘어섭니다.느끼는 바을 전하려면은유(metaphor)를 사용할 수밖에 없습니다.


은유 연구는 한 동안 유행했음에도당대 문헌 어디서도과학과 신비주의 사이 관계를 검토하려 했을 때나한테는 필수불가결한 것인은유의 상이한 유형들을 상세히 구별하는 기준을 찾지 못했습니다.

 

이탈리아 철학자지암바티스타 비코는 언어의 합리적 과학적 사용을 신비주의자와 형이상학자의 시적 담화들에서 분리하는 기준을 제시한 최초의 인물입니다(cf. Vico, 1744). 내 부여한 이 기준의 가치를 알기 위해 필요한 것은,내가 생각하는 은유 패턴에 대한 간략한 일반적 설명입니다.

 

은유 구성의 목적은 일정 개념에 빚대서 그와는 다른 개념을 기술하는 것입니다그와 같은 대체(代替)에는 둘 사이에 유사성 또는 견주어-비교하기(類推)가 필요합니다말하자면은유의 성립 여부는우리가 첫째 것에 속하는 하나 또는 몇몇 통상적 특징들을 그것들이 습관적으로 귀속되고 있지 않는 둘째 것으로 옮길 수 있는가에 달려 있습니다두 개의 항()이 항상 연루된다는 사실이바로비코가 행한 구별의 기초입니다.

 

한편그가 말하기를특정 경험을 불러일으키고자 몇몇 공통된 경험과 연계된 단어들을 사용한 언어적 표현이 있으며또한 이러한 은유를 듣거나 읽는 이라면 누구든 그 특정 경험에 이를 것이다이러한 은유 유형은 일상어에서 빈번히 쓰이고 있기에 모두가 아주 잘 알고 있습니다이것과 둘째 유형의 차이를 분명히 하기 전에예를 하나 들겠습니다. '그 날 난 내 친구 로버트를 만나 그 친구와 페라리를 타고 보스톤까지 날아갔지하고 내가 말할 경우,여러분이 은유적 표현 날아갔지를 이해하는 것은차로 날기와 여행하기 모두 여러분의 실제 (또는 적어도 잠재적경험 범위 안에 있기 때문이며전달된 특징은 속력임을 가늠하는 것에 아무런 곤란도 없기 때문입니다.

 

둘째 유형과 관련해서이를테면 찬송가 작가가 쓴 시(하나를 보겠습니다: "아침의 날개를 얻어 바다 저 너머에 산다면 (If I take the wings of the morning and dwell in the uttermost parts of the sea), ". 이들 단어들을 여러분이 겪었던 것들에 대한 기술(記述)로 해석할 수는 없습니다날개로 알고 있는 것과 아침에 대한 여러분의 개념 사이에는 신비로운 간격이 있습니다그리고 바다 저 너머도 전적으로 여러분 경험 범위 밖에 있습니다이러한 틈이 바로 비코의 둘째 은유 유형입니다이러한 은유는 알려진 것을 경험 너머로 투사시키거나역으로익숙한 것에 신비로운 속성을 부여합니다.

 

물론시인들은 두 유형을 모두 사용하며블레이크는 두 유형의 연결에서 대가였습니다.

 

Smile on our loves, and, while thou drawest the

Blue curtains of sky, scatter thy silver dew

On every flower that shuts its sweet eyes,

In timely sleep. ...

 

우리 사랑에 미소짓고파란 하늘 장막

거두며그대 은빛 이슬 뿌려주게나

모든 꽃에그 사랑스런 감기운 눈,

잠이 들터. ...

   (-->블레이크, "The Evening Star", ca.1770)

 

하늘파란 장막그리고 은빛 이슬꽃과 눈은 우리 경험에 익숙한 것들이며 그것들을 새로운 방식으로 결합하는 데에는 여하한 곤란도 있을 수 없습니다그러나 블레이스의 시적 상상력에서미소짓기걷어내기뿌리기 행위들은 밤 별의 특성으로 간주되고 있으며그래서 형언할 수 없는 신비를 자아냅니다.

 

놀라운 은유로시인은 화자들의 일상 경험 세계에 속하지 않기에 문어(文語)로는 소통 불가능한 것을 암시하고 있습니다그가 공유하고 싶은 것은윌리엄 제임스가 사적이자 개인적이라 칭했던 그러한 현상들 가운데 하나입니다(제임스, 1901-1902).

 

시적 은유를 산문(散文)이라 불리는 것들과 구별하는 차이는지식의 상이한 종류들을 알아보고자 할 경우 매우 중요해집니다다른 과학자들한테도 반복접근 가능한 경험 또는 실험들에서 끌어낸 추상들로 과학적 지식을 정의할 때두 가지는 분명해집니다시적 은유는 과학적 담화와 양립할 수 없으며둘째시인과 신비주의자의 담화는 과학의 언어로 번역될 수 없습니다.

 

여하튼시인과 신비주의자들은 과학이 추구하는 것과는 전혀 다른 목표를 갖고 있습니다그들은 자신들의 시적 은유를버틀란트 러셀이 말하려 했던 바처럼절대적 세계의 통일성(혹은 全體性)을 명백히 보여줄 이미지를 불러일으키기 위해 사용합니다.

 

이를 폴 발레리의 말로 표현하면:

 

... 문제의 다양성과 복잡성은실재하는분리정의 불가능한바에 대한 넘을 수 없는 장벽을 상징들을 써서 표상하고자 그래서 주도적으로 만들고자 하는 지성과 그 의지에 맞서고 있다 (발레리, 1936/1957, p.822).

 

남김없이 모두로 조성되는 통일성 개념은 합리적 사유 규칙에 따르면 성취될 수 없습니다이성은 경험의 흐름에서 조각을 잘라낼 수 있습니다이어 이성은 이것잘린 것들의 이산(離散상태로서 "어떤 것"을 성찰하는 경우 단위 개념을 창조합니다후설이(1887)이 주목한 것처럼이것이 또한 사물(事物)’ 발생의 최초 단계가 되는 것은,잘린 것들 사이 두어지는 것에 대한 반성들이 잇따를 때입니다여기서 밀접하게 관련된 점은단위 개념이 경험의 끝없는 흐름에 의존한다는 것입니다. (우리 경험에 끝이 없는 것은합리적 관찰자로서 우리는 단지 경험이 시작된 한 참 뒤에서야 알아차리며 경험이 멈추면 더 이상 거기에 머물 수 없습니다.)(역주1) 


이산 상태의 어떤 것이 자리잡힐 수 있는 배경으로 요구되는 이러한 조건은빅뱅 이론에서 문제가 생기는 지점이기도 합니다이 이론은 우주의 생성과 발달을 모두 다루고 싶어 합니다그렇지만정확히 그 이론은 일종의 역사임을 사칭하고 있기에즉각빅뱅 이전에 무엇이 있었는가를 묻도록 합니다이는 형이상학적 질문으로 판명되며,과학은 그러한 것을 다룰 수 없습니다과학은 우리가 경험 현상들을 조직체계화시키는 것을 돕는 개념적 모델을 합리적 사유를 써서 구성합니다.

 

두 가지 유형의 은유들에 대한 비코의 구별은시적 지혜 유발 과업(課業)에서 과학적 과업을 분리하는 방식을 제공했습니다한편이보다 훨씬 앞서신학에서 비잔틴 학파는 신비적인 것은 합리적 개념으로는 포착할 수 없음을 확고히 했습니다이들 신학자들은, ‘유일신이 전지전능하며 어디서든 현존한다면이때 그 신은 우리가 경험에서 마주치는 그 모든 것들과는 전적으로 다르다고 논증했습니다그리고 우리 개념들이란 단지 우리 경험의 추상들이기에 그 신에 대한 적절한 개념 형성도 바랄 수 없습니다여기서 핵심은이러한 논증이 결단코 비잔틴 학파의 믿음 또는 그들이 계시에 부여한 가치를 손상시키지 않았다는 점을 깨닫는 것입니다그러한 논증은 그들한테 신비적 지혜와 합리적 지식의 통약불가능성을 알아차리도록 했을 뿐입니다.


신비적 은유의 권능에 대한 가장 명료한 이미지들 가운데 하나는버나드 쇼의 성쟌에서 쟌다르크에게 심문하는 장면입니다그 장면에서심문자로베르 보드리꾸르는 그녀가 받았다고 주장하는 계시들을 밝히라고 그녀를 다그칩니다:

 

:  … 내 안에서 들리는 소리(my voice)에 대해 따지지 말라.

로베르(심문자):  무슨 말인가그 소리라는 게?

:  내가 할 일을 전하는 소리다하나님한테서 오는 것이다.

로베르:  그것은 너의 상상력에서 나온 거다.

:  맞다그게 바로 하나님의 메시지가 우리한테 오는 방식이다.

         (, St. Joan 1923, Scene I)(역주 2)

 

과학자들또한그들 합리적 모델을 처음 착상(着想)할 시시적 상상력에 의지한다는 것은 의심할 바가 없습니다.그것은퍼어스가 "abduction(推納)"이라고 불렀던 것으로과학자들한테 그들 경험을 배열하고 이어 관계짓는 방식에서 없어선 안되는 것입니다그들 가설들은 "~처럼(as if)" 추측 형식으로 생성됩니다.(역주 3) 실행 가능한 이론이 되려면그 이론은 관찰들에 대한 유용한 해석으로서 그밖에 이론들에도 쓸 수가 있어야 합니다따라서가설과 이론들은 공적 데이터를 가리키는 용어들로 정식화되어야 합니다공적 데이터란여기서의도적으로 불러올 수,알아볼 수그리고 소통될 수 있는 것들입니다한편이것의 성공 정도와 무관하게과학적 이론과 모델들은 합리적으로 분절된 세계의 인간 관찰과 경험에 관한 것들이지통일적 세계의 신비적 계시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거의 모든 활동적 물리학자들과 아주 많은 철학자들이세상에는 과학의 영향력 밖에그 본질상남아 있을 신비적 측면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그러나 종교가 하던 역할을 과학이 대신하는 19세기 경향이 여전히 상존하고 있습니다신문에서멋지게 연출된 TV 프로그램에서교실과 강의실에서과학은 진리(TRUTH)로 가는 최고의황금의 길로 찬양받았습니다이는 종교적 근본주의 못지않게 파멸적인 근본주의를 발생시키고 있습니다.

 

사람들이 이 혹성에서 생존을 위한 실행 가능한 평형을 찾고자 하는 경우과학자와 신비주의자 모두실제 경험의 합리적 정렬과 시적 은유들로 모아진 지혜가 통약불가능할지라도양립하지 못할 이유가 없음을 인정해야만 할 것입니다가장 시급한 과제는 양자에 적절한 역할을 부여하는 생각하기 살기 방식을 발달시키는 것이라 생각됩니다.



참고 문헌들


블레이크, W. (ca 1770) The Evening Star.

후설, E. (1887) Philosophie der Arithmetik. The Hague: Martinus Nijhoff, 1970.

제임스,W. (1901-2) Varieties of religious experience. Clifford Lectures. London: Longmans, Green & Co.

러셀, B. (1917) Mysticism and logic. London: Unwin Paperbacks, 1989

, G.B. (1923) St.Joan.

발레리, P. (1936) Une vue de Descartes (Variete IV), in Oeuvres, Paris: Bibliotheque de la Pleiade, 1957.

비코, G-B. (1744) Principi di scienza nuova. English translation by T.G.Bergin & M.H.Fisch, New York: Doubleday, 1961.

비트겐쉬타인, L. (1933) Tractatus logico-philosophiocus. London: Kegan Paul, Trench, Trubner & Co., (2nd revised printing).



번역자 주석


1.  "이성의 목적 혹은 존재 이유는 분석이다이성이 다루고 싶은 것은 그 어떤 것이든반드시 특정 차이에 입각해 기술될 수 있어야 하며그러므로 것과 관계로 맞물려져야 한다신비한 것은 그 또는 저 세계를 그 어떤 배경이든 그 곳에서 그 어떤 분간도 요청하지 않는 총체로 다룬다신비한 것이 부분들에 대해 말할 때그러한 은유들로 발생시키고자 한 것은, ‘부분들은 궁극에서는 하나다라는 공감이다." (-->Radical Constructivism, 1995, chap2, 첫 페이지) 그리고 --> “RC: 알기와 배우기의 한 방식”, ‘9단위여럿그리고 수’ 참조.


2. 페이비언니스트 버나드 쇼가 성쟌다르크를 쓴 것이 1923글러저스펠트가 이 글에서 인용한 것이 1994뤽 베송이 이 대목을 써서 영화 쟌다르크를 만들어 개봉한 것이 1999년이었다.


3. 통상 귀추(歸推)로 옮겨지는 경우들을 보았으나, 역자한테는 귀추보다는 추납(推納)는 용어가 더 적절하게 보인다. 'abduction'란 것이 '하나의 진술을 특정 가설적 상황에 옮겨 그것이 합당하다고 납득될 수 있다고 여겨질 경우 그 진술은 존재의 증거를 갖게 되는 과학적 추론의 한 방식이다라는 설명에서귀납(歸納)처럼 행위와 지각을 동반하는 경험이 아닌 유사 패턴을 상정하는 가설적 사고를 통해 진술의 적절성 증거를 확보하는 추론임을 볼 때실험적 행위에 대해 지각적 증거로 돌아오는 ()’자보다는 하나의 진술에 담긴 패턴을 유사 패턴을 갖는 특정 상황에 옮기는 것으로 '()'자가 핵심이고 그 과정의 결과로서  진술의 존재 증거를 확보한다는 의미의 들일 ()’자를 쓰는 것이 적절하다고 본다; 덧붙여, '유추'가 유형으로서 패턴을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옮기는 것, 또는 그러한 방식으로 둘을 비교하는 것을 가리킬 때, 추납은 유추 과정을 확장한, 혹은 그에 기반한 하나의 방식이다.

--> http://en.wikipedia.org/wiki/Abductive_reasoning

--> 그레고리 베이트슨의 'Mind and Nature'의 제5장 3절 추납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C. F. 에서 EvG 글 목록 나공 2014.12.18 7836
공지 에른스트 폰 글라저스펠트의 출판물 목록 나공 2014.04.14 85030
17 상대주의와 파시즘 & 구성주의에서 윤리 문제 나공 2014.04.12 49825
16 감각 경험, 추상, 그리고 가르치기 나공 2014.04.14 3582
15 급진적 구성주의 - 알기와 배우기의 한 방식 - 목차 나공 2014.04.14 3245
14 윌리엄 블레이크의 "밤 별에게" 나공 2014.04.14 11320
» 과학적 지식과 시적 지식의 통약불가능성 나공 2014.04.14 4067
12 폰 글라저스펠트의 미국 사이버네틱스 협회 선언문 (2014, 7, 26 수정) 나공 2014.04.14 4456
11 에른스트 폰 글라저스펠트를 기억하며 나공 2014.04.14 5927
10 사랑에 대한 합리적 생각들: 시작에는 둘이 있어야 나공 2014.04.14 9797
9 왜 화가 날까요? -- 빈센트 케니의 질문에 대한 글라저스펠트의 답 나공 2014.04.14 3038
8 개척자(실비오 케카토, 1914-1997)를 기리며 나공 2014.06.23 2945
7 radical Constructivism: A way of Thinking and Learning: 영어 PDF 파일 file 나공 2014.06.25 4500
6 진화론과 동형으로서 구성주의 지식이론: 진화론적 인식론의 결함 <RC(1995), 2장 - 도구주의의 새 연료> 나공 2014.07.11 3336
5 '허구'와 '가설'의 구별에서 '사이버네틱스'로 연결 나공 2014.07.12 3044
4 언어가 개체 경험 너머 물(物)들에 대한 기술을 제공한다는 환상을 붕괴시키는 켜뮤니케이션 역학 모델 나공 2014.07.12 5591
3 Radical Constructivism - NHK's Korean version of EvG(1995) [2] file 나공 2014.08.26 6455
2 재현과 연역 나공 2014.12.31 3412
1 급진적 구성주의를 사람들이 싫어하는 이유 file 나공 2015.01.08 25607

회원:
8
새 글:
0
등록일:
2014.06.19

오늘:
10
어제:
62
전체:
305,1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