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dical Constructivism: 알기와 배우기의 한 방식(1995)에 대한 NHK의 주석 게시판

이러한 문제를 무시하고, 콘라드 로렌츠 작업을 시작으로 발전된 진화론적 인식론 운동은, 특히, 도날드 켐벨이 그 인식론에 부여한 확장된 형식에서 상당한 기세를 얻었다; 그는 그것을 가설적 비판적 실재론으로 특징 지웠다. 켐벨은 <공간, 시간, 그리고 인과성 개념들은, 칸트 생각처럼, 인간 이성의 선험 요소들이 아니라, 오히려 생명체가 우주에 적응한 결과다>라는 점에서 로렌츠와 의견을 같이한다. 뿐만 아니라, 현대 물리학은 실재에 대해 훨씬 정교하게 다듬어진 견해(視角)를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이들 변이들이 몸의 형식 혹은 시지각물 혹은 과학적 이론까지 통제하고 있다 해도, Ding an sich(--자체)는 항상 간접적으로만, 언제나 알기 주체의 설정(假定) 언어로만 알려진다. 이러한 의미로, 그것은 알 수 없다. 하지만 이러한 반성(反映), <무수한 다소 부적합한 설정들에서 선택되어진 것>에는, 간접적이나마 일종의 객관성이 있다. (Campbell,1974, p.447)

 

그와 같은 객관적 실재에 대한 일종의 반성’[또는, 그러한 실재의 반영’]을 전제(當然視)함에 있어 결점은, <특정 시점에 바이어블한 (, 적응된) 것으로 입증된, [진화된 물리, 행동, 개념, 등등 구조]는 가능한 최상의 적응을 향한 필연적 도정(道程)에 있다>고 믿을 여하한 근거도 없다는 점이다. 오늘날 생존한 것들을 보존한 자연 선택은 우연한 변화들로 실제 야기된 변이들 중에서만 골라냈을 것이다. 이때 켐벨이 말한 무수한 다소 부적합한 설정들, 개념적 수준에서, 그 당시엔 불가결하게 보였던 기본 원리와 양립 불가능했기에 단연코 시도되지 않았던 훨씬 더 무수한 다소 부적합한 설정들을 배제하고 있다. 게다가, <유기체 적응 결과로 연 자체의 어렴풋한 구조가 알려진다>는 생각은 생물학자들의 발견, <수백만 년을 진화 생존했음에도 그 종들 대다수가 특정 시점에 멸종되었다>와는 전혀 맞아들지 않는다.

그런데, 더 근본적 논리적 결함이 진화론적 인식론의 전제들에 있다. 로렌츠 쓰기를, ‘주어진 환경 조건에 적응은 그 조건에 관한 정보 획득과 동등한 것이다’(1979, p.167). 이게 그의 학파의 주된 단정(斷定)이지만, 정당화될 수 없다. 적합(fitness) 또는 바이어빌러티와 같은 생물학 개념은, 유기체나 종들이 각기 부여된환경에 관한 정보을 갖추는 거나 그 환경과 속성들을 공유하는 걸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적응에 요구되는 건, 유기체들이 긁히거나 충돌하는 지점들을 피하는 것뿐이다. 자연 선택의 체(sieve)를 통과한 여하한 것도 자신이 걸러지지 않았다는 걸 알 수는 있지만, 이에는 그 체의 구조와 관련된 여하한 지시도 없다. 진화론과 구성론 모두에서, ‘맞아들다()’, 거기 있었을 여하한 제약들을 무사히 통과했다는 것 이상을 뜻하지 않는다.

에서,


'진화'에 대한, 

비판적 실재론과 구성론의 차이는 분명하게 알 수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첨언하면,

 

콘라드 로렌츠는, 1973, 그의 책, ‘거울 뒤에서: 인간 지식의 자연사에 대한 탐구’에서, 

<우리 감지들이 우리한테 세상 자체에 관한 정보를 정확히 전하는지, 

아니면 그저 환상만을 보여주는 건지> 여부에 대한 

오래된 철학적 문제를 숙고하고 있다. 그의 답은 진화론적 생물학에서 나온다:

“오직 우리가 살아남아 재생산하는 걸 도왔던 특성들만 전해질 뿐이다. 

만약 우리 감지들이 우리 환경에 관한 틀린 정보를 우리한테 주고 있다면, 

우리는 곧바로 멸종하고 말 것이다. 우리는, 따라서, 

우리 감지들이 우리한테 정확한 정보를 주고 있다고 확신할 수 있다; 

그렇지 않다면, 우리는 기만당하기 위해 여기에 있지 않을 것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9 '의식(consciousness)' 이해을 위한 중요한 지침 하나 나공 2014.07.02 490
68 칸트의 '선험적 범주들'에 대한 구성주의자들의 대체물 나공 2014.07.02 461
67 RC가 취하는 인식론적 외관들과 RC를 특징지우는 방법론들 나공 2014.07.01 434
66 프레게의 의미의 두 가지 형식에 대한 간단한 이해와 'reference'의 용법 나공 2014.07.01 12004
65 스펜서가 오해한 다윈의 '진화론'과 슬로건 '자연선택=적자생존'의 만연 나공 2014.07.01 568
» "진화"에 대한 비판적 실재론과 구성론의 차이 나공 2014.07.01 475
63 용어 누머논(noumenon)에 대한 이해 나공 2014.06.30 679
62 칸트한테, 경험이란? 나공 2014.06.30 972
61 '구성 지각'을 '동화나 조정이 수반된 지각'과 구별하기 나공 2014.06.30 418
60 '펼쳐 보여지는 바'가 '경험'이 되기 위한 조건 나공 2014.06.30 766
59 "시공간으로 구조화된 여하한 존재적(ontic) 실재도 감당하는 발견적 허구로서 물-그-자체"에서, 'ontic'의 용법과 그러한 실재의 기능 나공 2014.06.30 1356
58 ‘발견적 허구’로 기능하는 ‘생각의 산물’로서 '물-그-자체'의 필요성 나공 2014.06.29 21676
57 이성의 한계와 현실의 주재자로서 개체가 세상을 대하는 태도 나공 2014.06.29 447
56 용어 'appearance'에 대해: 통상 번역되는 '현상'이나 '외관/외양'보다 '현시'나 '출연'이 더 맘에 든다. 나공 2014.06.29 509
55 '대상' 또는 '객체'로 번역되는 용어 'object'의 용법과 확장된 사용들 나공 2014.06.29 480
54 '학' 또는 '과학'으로 번역되는 용어 'science'의 역사전 변천 나공 2014.06.29 492
53 칸트의 '초월(transendent) 철학'이 참작하는 '자연'이란? 나공 2014.06.29 432
52 맘에 들지 않는 용어 '선험(的)'으로 번역되는 용어 'transendental'에 대해 나공 2014.06.29 818
51 '유추'로 번역되는 'analogy'에 대해 나공 2014.06.29 682
50 영어 'soul'과 'spirit', 그리고 영(靈)과 혼(넋), 그리고 정신(精神) 나공 2014.06.29 1691

회원:
8
새 글:
0
등록일:
2014.06.19

오늘:
60
어제:
61
전체:
305,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