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dical Constructivism: 알기와 배우기의 한 방식(1995)에 대한 NHK의 주석 게시판
1차 역주 보완, 수정들 기억, 개체 동일성, 그리고 텔레파시
2014.07.19 14:23
기억은 개체 동일성에 대한 가장 신뢰할 만한 표지로 보이다. 우리는 기억을 개체를 특징짓는 가장 사적인 소유물로, 특히 난처한 것이라면, 유일한 것이라 굳게 믿고 있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텔레퍼시 가능성을 진지하게 고려하는 것에 격심한 주저감을 갖는 이유들 가운데 하나일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왜냐면, 개체 동일성의 가장 신뢰할 만한 기준은 우리 생각들의 절대적 프라이버시에 따른 것이기에, 우리 생각들에 타자들이 닥치는 대로 접근할 수 있다고 믿는다면, 그 기준은 의심스런 것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에서,
RC의 정신이 진입했다면,
인물로서 타자들이란 자신이 구성한 구성물들이자,
자신이 마주하는 세상에서 지속적으로 사건으로서 경험되는 가설체로
이해될 것이다.
이와 같은 시각에서,
아이를 돌보다 잠깐 다른 일에 집중하다,
섬찟하는 느낌으로 베란다로 달려나간 엄마는
난간에서 위험천만한 상태의 아이를 발견할 수도 있는 것이다.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9 | '관찰자 관점에'가 아니라 '생존하려는 또는 배우려는 유기체 관점'에서 보는 귀납 | 나공 | 2014.07.06 | 659 |
8 | '하나'로 번역되는 'unity'에 대한 여러 용례 또는 그 구성들 | 나공 | 2014.07.06 | 525 |
7 | 정의(definition)의 여러 종류들 | 나공 | 2014.07.06 | 1390 |
6 | '주의 집중과 주의 분산'과 '유표 공간과 무표 공간'의 유사성 | 나공 | 2014.07.06 | 663 |
5 | 1장 4p: 문장 구성에서 일의적 원칙과 언어적 느슨함 | 나공 | 2014.07.08 | 815 |
4 | 전능한 창조주에 대한 칸트의 당연시가 강변(强辯)인 까닭? | 나공 | 2014.07.11 | 829 |
3 | 존재적 세상과 존재론적 세계의 이중적 구별 필요 | 나공 | 2014.07.12 | 839 |
» | 기억, 개체 동일성, 그리고 텔레파시 | 나공 | 2014.07.19 | 852 |
1 | 개개인의 윤리에 대한 연구는 철학의 주제라기보다는 심리학이나 사회학에 속해야 할 이유 | 나공 | 2014.08.03 | 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