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dical Constructivism: 알기와 배우기의 한 방식(1995)에 대한 NHK의 주석 게시판
 1953년의 철학적 탐구에서 ... 그는 단어의 ‘신호’ 기능을, ... 재연 생성에 의존하는 ‘상징’ 기능에서 깔끔하게 분리하고 있다. .....
     표현 ‘언어 게임’은 핵심 슬로건이 되었다. 이 슬로건은, ...  수많은 이들한테, 언어를 특정 사회의 모든 성원들이 공유하게 된 객관적인 것으로 생각하도록 오도(誤導)했다.            
     내 조망에서, 이러한 해석은 잘못된 것이다. 그러한 해석이 고려치 못한 것은, 비트겐쉬타인이 이들 두 가지 요점을 프레게 준거(準據) 이론과 <30여 년 전 자신이 Tractatus에서 썼던 것들> 상당수에 대한 그의 반론의 일환으로 삼았다는 점이다. 그의 후기 저작 1부에서, 그의 주요 관심사는, 단어들은 관찰자와 독립된 대상들을 지시한다는 생각(觀念)을 깨부수는 것이었으며, 그 일을 그는, <‘의자’ 말하기와 의자 ‘모양’ 말하기 사이 차이>에 주목함으로써, 훌륭히 해냈다(ibid., par.35). 비트겐쉬타인 왈, 의자는 가리켜질 수 있으나, 모양은 그럴 수 없다. 
     실상, 어떤 언어에든, 지각 가능한 지시된 대상들을 그저 가리키는 것만으로는 설명될 수 없는 의미를 갖는 수많은 단어들이 있다. 모양이 좋은 사례인 까닭은, 누구든 이것을 색깔을 보는 방식으로 볼 수도, 뜨겁거나 찬 걸 느끼는 방식으로 느낄 수도 없기 때문이다. 단어 ‘모양’의 의미는, 고로, 감지들이 집어낼 수 있는 독립된 어떤 것이 아니다 . 이 사례로, 비트겐쉬타인은 논리주의자들의 준거(準據) 이론을 아주 성공적으로 반박했다. 그러나 그는 단어 ‘모양’을 위한 의미가 어떻게 생성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답하지 않았다.
에서,

<‘의자’ 말하기와 의자 ‘모양’ 말하기 사이 차이>에 주목한
철학적 탐구 34, 35절 (nhk 번역)

34. 하지만 누군가 다음과 같이 말한다고 하자:  “모양을 주시할 때면 항상 같은 일을 하지요: 내 눈은 윤곽을 따라가며 나는 ... 느끼죠”. 그리고 이 사람이 또 다른 사람한테, 특정 둥근 대상을 가리키며 이 모든 것들을 경험하며, “그것은 <원(圓)>이라 불린다”고 그럴듯한 정의를 주고 있다고 하자 — 청자가 화자 눈이 그 윤곽을 쫓아가고 있는 것을 보고 있음에도, 그리고 그 화자가 느끼는 것을 느끼고 있음에도, 그 청자는 그 정의를 달리 해석할 수는 없을까? 다시 말해: 그러한 ‘해석’ 역시, 이를테면, “원을 가리킨다”고 들었을 때, 그 청자가 그때 <그 단어>를 사용한 방식에; 그가 가리킨 것에 달려 있을 것이다 — 해서, 그러그러한 방식으로 그 정의를 뜻하려는 표현이든, 그러그러한 방식으로 그 정의를 해석하는 표현이든, 그 어떤 것도, [그러한 정의(定意) 주기 그리고 듣기를 동반하는 {과정}]을 상징(代身, 代表, 再現)할 수 없다. 

35. 물론, (이를테면) 모양 가리키기와 같은 “개성적(個性的) 경험들”이라 불릴 수 있는 것들이 있다. 예를 들어, 자신의 손가락이나 눈으로 자신이 가리킨 바 윤곽 쫓아가기 같은 것이다. — 하지만, 이런 일은 내가 그 모양을 뜻하고자 한 모든 사례들에서 일어나지 않으며, 더 이상 다른 그 어떤 개성적 과정도 이들 모든 사례들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 게다가, 그러한 것이 모든 사례들에서 재발했다 할지라도, 그것은 여전히 그 여건에, 즉, 가리키기 전후 일어난 일들에 — “그가 가리킨 것은 색깔이 아니라 그 모양이었다”고 우리가 말해야 하는지 아닌지에 — 달려 있을 것이다.
   
“모양을 가리킨다”, “모양을 의미한다”, 그리고 등등의 단어들은, “(저 책이 아닌) 이 책을 가리킨다”, “그 테이블이 아닌 그 의자를 가리킨다”, 그리고 등등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되지는 않는다. — “이것을 가리킨다”, “저것을 가리킨다”와 달리, “모양이 아닌 색깔을 가리킨다”, “색깔을 의미한다”, 등등을 우리가 얼마나 다르게 배웠는가만을 생각하라. 반복하면: 일정 사례들에서, 특히 누군가 ‘모양’이나 ‘수(數)’를 가리키고 있을 때 개성적 경험들이 있고 — 그 경험들이 (항상은 아니고) 자주, 모양이나 수가 의도된 경우, 재발하기 때문에 — ‘개성적인’ 가리키기 방식들이 있다. 하지만, 당신 역시 하나의 장기판의 조각 하나를 하나의 석류석에서 하나의 조각인 것처럼 가리키는 개성적 경험에 대해 알고 있다. 전적으로 다름과 같이 말할 수 있다: “내가 뜻하고자 한 것은, 이 조각을 ‘왕’으로 칭한 것이지, 내가 지금 가리키고 있는 이 구체적 나무 조각을 칭한 것은 아니다.” (알아보기, 소망하기, 상기하기, 등등)

요컨데, 이를테면,
모양이나 수(數)와 같은 경우는 
그 어떤 단어로도 그것을 경험하거나 지닌 자와
독립해서 존재할 수 없다는 설명이다.

그래서, 
[<단어들은 관찰자와 독립해서 존재하는 대상들을 지시한다>는 
생각, 관념을 깨부수고 있다]고 언급한 것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9 존재적 실재(ontic reality)의 의미 나공 2014.07.04 24654
28 번역어 '실험관찰적'이 일상어는 아니지만, 일상적 의미는 담고 있다. 나공 2014.07.04 576
27 삐아제의 경험 세계 창조하기의 시작으로서, 스펜서 브라운의 '구별' 나공 2014.07.04 732
26 '반복'과 '투사'로 만들어지는 확인 불가능한 기만적 관념들 나공 2014.07.04 769
25 자율성이 제거된 상호 관계 또는 협력들로 만들어지는 사회란? 나공 2014.07.04 611
24 일인칭 나/우리의 사용의 시사점 나공 2014.07.04 564
23 '자아' 개념의 근저에 있는 의식(알아차림): 극한으로서, '세계'의 것이 아닌 철학적 나 나공 2014.07.04 572
22 철학적 '나', 극한으로서 '아(我)'에 집(執)하는 자한테는 약이 없다. 나공 2014.07.04 565
21 '참나'라는 '신비'의 미끼 상품으로 판매하려는 것은 '진리'다. 나공 2014.07.04 604
20 '이분법'의 각 분과에서 용례들과 잘못된 사례들, 그리고 그 폐해에 대응하는 방식 나공 2014.07.04 1010
19 '지각(그리고 여타) 경험들의 코어'로서 '자아'만이 개체 자신의 제어와 책임의 진정한 중심이다. 나공 2014.07.05 828
18 유아의 '자아' 발생을 야기하는 '시각장에서 구별'과 스펜서 브라운의 '구별'의 유사성 나공 2014.07.05 1240
17 '타자' 필요의 이유에 따른 '윤리' 또는 '윤리학'의 차이 나공 2014.07.05 661
» 비트겐쉬타인이 <‘의자’ 말하기와 의자 ‘모양’ 말하기 사이 차이> 주목으로 해낸 것 나공 2014.07.05 786
15 내가 단어 'world'에 대해 '세상'과 '세계'를 구별하게 된 대목 나공 2014.07.05 682
14 스펜서의 공리들 가운데 <자기-지시 = 무표 공간>에 대한 해석 하나 나공 2014.07.05 734
13 버나드 쇼가 '잔다르크에 대한 심문' 장면에서 말하고자 한 것. 나공 2014.07.05 1110
12 인간 개체의 발달적 과정에 다름 아닌 제임스 조이스의 미학적 3단계 나공 2014.07.05 844
11 삐아제의 '반사'란 자율성의 기초로서 타고난 성(性)이다. [1] 나공 2014.07.06 782
10 학의 전제들과 그 순환성 나공 2014.07.06 926

회원:
8
새 글:
0
등록일:
2014.06.19

오늘:
38
어제:
62
전체:
305,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