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dical Constructivism: 알기와 배우기의 한 방식(1995)에 대한 NHK의 주석 게시판
        관찰자와 관찰된 것들

삐아제 이론의 전제(先假定)들 가운데 하나로, 생각하기 주체는 두 개의 기본 깜냥을 갖고 있다. 첫째, 감각과 발동의 경험 요소들을 정렬시킬 수 있다; 둘째, 그와 같은 정렬(協應)로 얻어진 개념 구조들이 진전된 경험 상황들에서도 바이어블한 것으로 확인될 때, 그 자신의 조작하기에서 추상할 수 있는 것은, 장차 경험 다룸에 도움이 될 주기성과 규칙들이다. 생각하기 주체가 정렬시키는 요소들은, ‘경험에서 얻어진’ 것들이기에, 정의상, 그 주체 시스템 안에 현존하는 것들이다. 그 시스템은, 결단코, 관찰자 관점에서 그 시스템 밖에 있는 것들로 보이는 아이템(項)들, 즉, 그 시스템의 경험을 야기한 ‘환경’ 요인들에 접근할 수가 없다. 따라서, 정렬은 전적으로 내적 사건이며, 고로, 그것은 정렬자(協應者)한테는 항상 주관적인 것이다. 이러한 점은, 삐아제가 연구하던 아이들한테만이 아니라, 과학자든 순진한 구경꾼이든, 그 어떤 관찰자한테도 해당된다. 그 누구도 이러한 경험의 근원적 주관성은 피할 수 없으며, ‘신의 안목(神瞰圖)’에 이 표현(God’s eye view)은 힐러리 퍼트남(Hilary Putnam)의 것이다.
 접근할 수 있다고 사칭하는 철학자들 또한 예외가 아니다. 그들도, 모든 인지하기 유기체와 마찬가지로, 그들 자신의 감각운동 경험과 개념적 경험에서 결론들을 끌어냈으며, 그들 결론들에 대한 여하한 설명, 즉, 그들 ‘지식’ 역시 반드시 내적 사건들에 입각할 수밖에 없으며, 이밖에 설정된 그 어떤 요소들에도 기댈 수 없다. 
      한편으로, 살며 경험하는 주체 자신의 관점, 그리고 또 한편으로, 그와 같은 주체가 어떻게 지식을 구성하는지 이해하려 하는 관찰자 관점 사이를, 삐아제는 선명하게 구별했다. 

가장 먼저, 개체로서 주체, . . . 그리고 같은 수준에서는 모든 주체들이 공유하는 인식 주체 또는 인지 핵심은 구별되어야 한다. 그 다음, 반드시 대비시켜야 할 것으로, 한편에는, (항상 파편적이며 종종 일그러지는) 의식에 도달이 있고, 그리고 다른 한편에는, 그 주체가 결과만 알지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모르는 자신의 지적 활동에서 성공적으로 해낸 ‘것’이 있다. 그러나 그 주체를 그 ‘자아’에서 그리고 그것이 ‘살고 있는’ 것들에서 해리(解離)시키면, 남는 것은 그 주체의 조작들, 말하자면, 그 주체가 자신의 행위들의 일반화로 얻은 정렬(協應)들에서 반성적 추상으로 끌어낸 것들이다. (Piaget, 1970b, p.120)

인지 모델 구성을 위해, 관찰자들이 정렬들로 범주화 한 것, 그리고 관찰된 살기 주체가 그것들에서 반성적 추상으로 얻은 결과들을, 그 주체한테서 해리시키고’ 있는 이는 바로 관찰자다. 오직 관찰자들만이, 특정 주체와 그의 환경과 상호작용을 지시할 수 있으며, 그 주체의 (생물학적/개념적) 구조들이, 관찰자 관점에서 관찰된 그 주체의 살며 일하는 세상과 맺는 관계를 특징지을 수 있을 뿐이다.


에서,

관찰자 관점과 인식 주체 관점을 구별하는 데,
다음 주체의 용법이 도움이 될 것이다.

'subject'는 철학에서 주체로 통상 번역되지만, 
실험 심리학에서는 실험 대상인 피험자를 가리킨다. 

구성론에서, 

이 단어는, 
관찰자의 관찰 대상인 개체의 행동들을 발현시킨 행위 주체를 가리키며, 
이때 이 주체는 관찰 가능하지 않은, 이론에서 가정된 능동적 에이전트다. 

또한, 다른 맥락에서, 
관찰자가 관찰 가능한 개체로서 주체, 
즉 피험자를 가리킬 때도 있다. 

해서, 

관찰된 주체, 새내기 주체, 살기 또는 생활 주체, 실천 주체는 
개별 주체, 말인즉, 후자를 가리키고, 

알기 주체, 생각하기 주체, 정렬, 반성하기 주체, 
조작하기 또는 세기 주체, 알아차리기 주체는 
전자를 가리킨다. 

구성론의 자기-준거, 또는 자기-지시의 순환적 구성은, 
이 두 주체와 관찰 주체 사이, 혹은 각 주체가 기대고 있는 구조들 사이에서, 
주의가 이동하면서 조성되는 형식들로 나타난다.

마지막 구절에서,

관찰자는, 
관찰된 사실들과
그 사실들에 입각해 반성적 추상으로 
관찰된 살기 주체의 입장에서 얻은 결과, 말인즉,
확증된 가설들을,
관찰된 살기 주체한테서 해리시킨다.
그럼으로써,
오직 관찰자만이,
특정 주체와 그의 환경과 관계를 지시(언급)할 수 있으며,
확증된 가설로서
그 주체의 (생물학적/개념적구조들이
목하,
관찰자 관점에서 관찰되는 
그 주체의 살며 일하는 세상과 
맺는 관계를 특징지을 수 있을 뿐이다.

 
編號 標題 作者 日期 點閱
49 '구성 지각'을 '동화나 조정이 수반된 지각'과 구별하기 나공 2014.06.30 418
48 칸트한테, 경험이란? 나공 2014.06.30 972
47 용어 누머논(noumenon)에 대한 이해 나공 2014.06.30 679
46 "진화"에 대한 비판적 실재론과 구성론의 차이 나공 2014.07.01 475
45 스펜서가 오해한 다윈의 '진화론'과 슬로건 '자연선택=적자생존'의 만연 나공 2014.07.01 568
44 프레게의 의미의 두 가지 형식에 대한 간단한 이해와 'reference'의 용법 나공 2014.07.01 12005
43 RC가 취하는 인식론적 외관들과 RC를 특징지우는 방법론들 나공 2014.07.01 434
42 칸트의 '선험적 범주들'에 대한 구성주의자들의 대체물 나공 2014.07.02 461
41 '의식(consciousness)' 이해을 위한 중요한 지침 하나 나공 2014.07.02 490
40 RC가 몸과 마음의 병발적 발생을 설명하는 일원론임을 설명하는 출발점 나공 2014.07.02 433
39 담화에서 응대하는 인물이란? 나공 2014.07.03 390
38 호상간 상호의존성, 이해하기의 이해하기, 사이버네틱스의 사이버네틱스와 같은 표현들이 의미하는 것 나공 2014.07.03 545
» '관찰자와 관찰된 것'의 구별에 도움이 되는 '주체' 용법에 대한 구별 나공 2014.07.03 718
36 ‘La prise de conscience’에 대한 해석과 의식(알아차림)의 층위 나공 2014.07.03 803
35 우리가 마주하는(vis–à–vis) 세상 나공 2014.07.03 476
34 철학적 조망에서 본 RC(1995) 나공 2014.07.03 456
33 유아론으로 미끌어지지 않고 실재론의 망상을 피하는 구성론의 세상을 마주보는 방식 나공 2014.07.03 419
32 숙명 지워진 덩어리의 속박에서 벗어나기 나공 2014.07.03 483
31 실재, 객관, 보편, 절대, 진리와 같은 용어들을 언급하지 말하야 할 이유 나공 2014.07.03 482
30 용어 'reality'의 다의성과 용어 '실재'를 대체할 수 있을 '세상'과 '현실 또는 세계' 나공 2014.07.03 595

會員:
8
N:
0
登錄日期:
2014.06.19

今天:
41
昨天:
62
總共:
305,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