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dical Constructivism: 알기와 배우기의 한 방식(1995)에 대한 NHK의 주석 게시판

"버클리가, <연접(succession)이란, 감각 대상들의 속성일 수 없고, 그렇기에, 주체 자신의 경험에 대한 주체의 반성으로 추상되어야 하는 것>임을 깨달았을 때, 그것이, 수가 아닌, 연장, 운동, 그리고 시간과 같은 개념(concept)들을 야기하는 경우에까지, 그는 그것을 수학적 관념(notion)이라 불렀다.여기서 중요한 점은 <다음>을 깨닫는 것이다: <(실재하는 대상들의 속성들을 반영하고 있다는 의미에서) 일차로 간주된 특징들은 최소 2개의 실험-관찰적 프레임들의 연접과 이들 관계-짓기로 형성된 개념들에 의존하다>. 이때 연접에서 경험하기 주체가 얻는 건 그저 관계를 확립시킬 기회뿐이다; 연접에는 여하한 관계도 없다. 아울러, 연접 자체로는 확립될 관계의 종류 또한 결정 못 한다.

에서,


‘감각 대상(sensory object)’은,

맥락상, 'sensory'가 'sensation'의 형용사로 독해되어, 

감각 과정의 대상, <감각 대상>으로 표현된다.

['감각 관념(sensory idea)'의 경우,

'sensory'를 '감각 요소들로 조성된'으로 해석했던 것과는 다르다;

특정 형용사가 맥락에 따라 해석될 수 없다면, 

그 문장은 의미 만들기(making sense)에 실패한 것이다.]


소박 실재론에서는 ,

<감각기관(感管)이 마주하는 대상>으로 해석될 것이며,

경험론의 철학적 전통을 잇는 비판적 실재론에서는,

<감지 깜냥들이 경험하고 있는 것들 너머 실재하는 대상>으로 해석될 것이다.


윗 문장에서 '감각 대상'은,

RC의 시각에서 해석하자면, 

<감지 깜냥들(senses)이 마주하고 있는 것으로, 

(정확하게, 감각 과정 외부에 있는 것으로),  단정(斷定)한 것>을 가리킨다.





No. Заголовок Автор записи Дата Просмотры
69 로크의 '경험'의 범위와 복합 관념에 대한 4가지 유형 나공 2014.06.28 483
68 버클리의 '연접'에 대한 생각과 오늘날 '구별'에 대한 생각의 유사성 나공 2014.06.28 434
» '연접'이 감각 대상의 속성이 아닐 때, 최소 감각 요소의 질이란 가능한가? 나공 2014.06.28 551
66 인지 주체가 창조하는 관념들 사이 연결 원리: 닮음, 인접, 인과 나공 2014.06.29 868
65 의문, <감지(感知)들의 지각이 그 지각을 닮은 외부 대상에 의해 만들어지는가 아닌가?>에 대한 관점에 따른 재구성 나공 2014.06.29 449
64 자연 자체에 대한 경험은 침묵이며 전적으로 함묵일 수밖에 없다는 흄의 입장 나공 2014.06.29 579
63 흄의 명시적 공격 목표? 나공 2014.06.29 18307
62 용어 “a priori(아 프리오리)”와 “a posteriori(아 포스테리오리)”를 소리나는 대로 표기하는 이유 나공 2014.06.29 905
61 용어 'ratio'의 의미와 한국어 '알'의 유사성 나공 2014.06.29 643
60 영어 'soul'과 'spirit', 그리고 영(靈)과 혼(넋), 그리고 정신(精神) 나공 2014.06.29 1633
59 '유추'로 번역되는 'analogy'에 대해 나공 2014.06.29 643
58 맘에 들지 않는 용어 '선험(的)'으로 번역되는 용어 'transendental'에 대해 나공 2014.06.29 742
57 칸트의 '초월(transendent) 철학'이 참작하는 '자연'이란? 나공 2014.06.29 398
56 '학' 또는 '과학'으로 번역되는 용어 'science'의 역사전 변천 나공 2014.06.29 448
55 '대상' 또는 '객체'로 번역되는 용어 'object'의 용법과 확장된 사용들 나공 2014.06.29 408
54 용어 'appearance'에 대해: 통상 번역되는 '현상'이나 '외관/외양'보다 '현시'나 '출연'이 더 맘에 든다. 나공 2014.06.29 446
53 이성의 한계와 현실의 주재자로서 개체가 세상을 대하는 태도 나공 2014.06.29 416
52 ‘발견적 허구’로 기능하는 ‘생각의 산물’로서 '물-그-자체'의 필요성 나공 2014.06.29 21330
51 "시공간으로 구조화된 여하한 존재적(ontic) 실재도 감당하는 발견적 허구로서 물-그-자체"에서, 'ontic'의 용법과 그러한 실재의 기능 나공 2014.06.30 1278
50 '펼쳐 보여지는 바'가 '경험'이 되기 위한 조건 나공 2014.06.30 700

Пользователь:
8
Новые документы:
0
Дата регистрации:
2014.06.19

Сегодня:
19
Вчера:
116
Всего:
298,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