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dical Constructivism: 알기와 배우기의 한 방식(1995)에 대한 NHK의 주석 게시판
유추를 사용한 논리(抽納)로 얻은 가설을 경험으로 확증하는 사고는, 
즉물궁리(卽物窮理)<즉, 관찰자 관점에서 사물의 리(理)를 파악, 그것의 성(性)을 분별하는 것>을 너머, 
즉물궁리와 동급의 격물치지가 아닌, 왕수인의 격물치지(格物致知),  그에 대한 그의 해석에서
핵심적 역할을 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그의 해석은,
관찰자의 입장이 아닌 관찰 대상의 입장에 서서, 
생명과 사물의 리(理)를 파악, 
관찰자 관점의 리(理)를 바로잡는 것, 
이로써, 자신이 홀로 우주이자 
우주 속 우주라는 성(性)에, 즉, 
심(心)의 지(知)의 성(性)에 이르는 것으로 
이해된다.

다시 말해,
심에 대한 지란,
<생각하기와 행위하기 스킴>에 대한 지이며, 
이것이 바로 양지이며, 
양지의 원형은 
바로 오늘날 아기들의 반사들이기에, 
(동서양 상당수 (필시 대다수) 현자들이 
적어도 한번쯤은 아이들에 대한 세심한 관찰자였으리라는 점에서 보건데,) 
이러한 인간 마음, 곧 생명의 성(性)에 충실(忠實)하는 것이, 
성리(性理)를 바로 하는 것이라 생각하지 않았을까? 

타고난 성(性)이 바로 자율을 기본으로, 
귀납적 배우기로 전개되고 있다는 깨달음이야말로, 
그들 평생의 자신에 대한 반성과 수양의 지침이 되었으리라 생각된다.


番号 タイトル 投稿者 日付 閲覧数
69 '지각(그리고 여타) 경험들의 코어'로서 '자아'만이 개체 자신의 제어와 책임의 진정한 중심이다. 나공 2014.07.05 828
68 맘에 들지 않는 용어 '선험(的)'으로 번역되는 용어 'transendental'에 대해 나공 2014.06.29 818
67 개념 분석에서 생겨난 기계 번역을 자연어 번역에 적용하려는 시도 나공 2014.06.23 816
66 삼독(三毒)의 기원으로서 진선미(眞善美) 나공 2014.06.27 808
65 ‘La prise de conscience’에 대한 해석과 의식(알아차림)의 층위 나공 2014.07.03 803
64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이들한테는 보여줄 수 없는 것들 나공 2014.06.23 792
63 비트겐쉬타인이 <‘의자’ 말하기와 의자 ‘모양’ 말하기 사이 차이> 주목으로 해낸 것 나공 2014.07.05 786
» 삐아제의 '반사'란 자율성의 기초로서 타고난 성(性)이다. [1] 나공 2014.07.06 782
61 '반복'과 '투사'로 만들어지는 확인 불가능한 기만적 관념들 나공 2014.07.04 769
60 '펼쳐 보여지는 바'가 '경험'이 되기 위한 조건 나공 2014.06.30 766
59 스펜서의 공리들 가운데 <자기-지시 = 무표 공간>에 대한 해석 하나 나공 2014.07.05 734
58 삐아제의 경험 세계 창조하기의 시작으로서, 스펜서 브라운의 '구별' 나공 2014.07.04 732
57 '관찰자와 관찰된 것'의 구별에 도움이 되는 '주체' 용법에 대한 구별 나공 2014.07.03 718
56 '관찰자 관점에'가 아니라 '생존하려는 또는 배우려는 유기체 관점'에서 보는 귀납 나공 2014.07.06 708
55 '주의 집중과 주의 분산'과 '유표 공간과 무표 공간'의 유사성 나공 2014.07.06 702
54 인지적 맹점을 객관성으로 응대하는 망상에 대한 대안적 태도 나공 2014.06.26 699
53 '유추'로 번역되는 'analogy'에 대해 나공 2014.06.29 682
52 내가 단어 'world'에 대해 '세상'과 '세계'를 구별하게 된 대목 나공 2014.07.05 682
51 용어 누머논(noumenon)에 대한 이해 나공 2014.06.30 679
50 용어 'ratio'의 의미와 한국어 '알'의 유사성 나공 2014.06.29 673

会員:
8
新規:
0
登録日:
2014.06.19

今日:
1
昨日:
62
すべて:
305,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