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dical Constructivism: 알기와 배우기의 한 방식(1995)에 대한 NHK의 주석 게시판
        관찰자와 관찰된 것들

삐아제 이론의 전제(先假定)들 가운데 하나로, 생각하기 주체는 두 개의 기본 깜냥을 갖고 있다. 첫째, 감각과 발동의 경험 요소들을 정렬시킬 수 있다; 둘째, 그와 같은 정렬(協應)로 얻어진 개념 구조들이 진전된 경험 상황들에서도 바이어블한 것으로 확인될 때, 그 자신의 조작하기에서 추상할 수 있는 것은, 장차 경험 다룸에 도움이 될 주기성과 규칙들이다. 생각하기 주체가 정렬시키는 요소들은, ‘경험에서 얻어진’ 것들이기에, 정의상, 그 주체 시스템 안에 현존하는 것들이다. 그 시스템은, 결단코, 관찰자 관점에서 그 시스템 밖에 있는 것들로 보이는 아이템(項)들, 즉, 그 시스템의 경험을 야기한 ‘환경’ 요인들에 접근할 수가 없다. 따라서, 정렬은 전적으로 내적 사건이며, 고로, 그것은 정렬자(協應者)한테는 항상 주관적인 것이다. 이러한 점은, 삐아제가 연구하던 아이들한테만이 아니라, 과학자든 순진한 구경꾼이든, 그 어떤 관찰자한테도 해당된다. 그 누구도 이러한 경험의 근원적 주관성은 피할 수 없으며, ‘신의 안목(神瞰圖)’에 이 표현(God’s eye view)은 힐러리 퍼트남(Hilary Putnam)의 것이다.
 접근할 수 있다고 사칭하는 철학자들 또한 예외가 아니다. 그들도, 모든 인지하기 유기체와 마찬가지로, 그들 자신의 감각운동 경험과 개념적 경험에서 결론들을 끌어냈으며, 그들 결론들에 대한 여하한 설명, 즉, 그들 ‘지식’ 역시 반드시 내적 사건들에 입각할 수밖에 없으며, 이밖에 설정된 그 어떤 요소들에도 기댈 수 없다. 
      한편으로, 살며 경험하는 주체 자신의 관점, 그리고 또 한편으로, 그와 같은 주체가 어떻게 지식을 구성하는지 이해하려 하는 관찰자 관점 사이를, 삐아제는 선명하게 구별했다. 

가장 먼저, 개체로서 주체, . . . 그리고 같은 수준에서는 모든 주체들이 공유하는 인식 주체 또는 인지 핵심은 구별되어야 한다. 그 다음, 반드시 대비시켜야 할 것으로, 한편에는, (항상 파편적이며 종종 일그러지는) 의식에 도달이 있고, 그리고 다른 한편에는, 그 주체가 결과만 알지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모르는 자신의 지적 활동에서 성공적으로 해낸 ‘것’이 있다. 그러나 그 주체를 그 ‘자아’에서 그리고 그것이 ‘살고 있는’ 것들에서 해리(解離)시키면, 남는 것은 그 주체의 조작들, 말하자면, 그 주체가 자신의 행위들의 일반화로 얻은 정렬(協應)들에서 반성적 추상으로 끌어낸 것들이다. (Piaget, 1970b, p.120)

인지 모델 구성을 위해, 관찰자들이 정렬들로 범주화 한 것, 그리고 관찰된 살기 주체가 그것들에서 반성적 추상으로 얻은 결과들을, 그 주체한테서 해리시키고’ 있는 이는 바로 관찰자다. 오직 관찰자들만이, 특정 주체와 그의 환경과 상호작용을 지시할 수 있으며, 그 주체의 (생물학적/개념적) 구조들이, 관찰자 관점에서 관찰된 그 주체의 살며 일하는 세상과 맺는 관계를 특징지을 수 있을 뿐이다.


에서,

관찰자 관점과 인식 주체 관점을 구별하는 데,
다음 주체의 용법이 도움이 될 것이다.

'subject'는 철학에서 주체로 통상 번역되지만, 
실험 심리학에서는 실험 대상인 피험자를 가리킨다. 

구성론에서, 

이 단어는, 
관찰자의 관찰 대상인 개체의 행동들을 발현시킨 행위 주체를 가리키며, 
이때 이 주체는 관찰 가능하지 않은, 이론에서 가정된 능동적 에이전트다. 

또한, 다른 맥락에서, 
관찰자가 관찰 가능한 개체로서 주체, 
즉 피험자를 가리킬 때도 있다. 

해서, 

관찰된 주체, 새내기 주체, 살기 또는 생활 주체, 실천 주체는 
개별 주체, 말인즉, 후자를 가리키고, 

알기 주체, 생각하기 주체, 정렬, 반성하기 주체, 
조작하기 또는 세기 주체, 알아차리기 주체는 
전자를 가리킨다. 

구성론의 자기-준거, 또는 자기-지시의 순환적 구성은, 
이 두 주체와 관찰 주체 사이, 혹은 각 주체가 기대고 있는 구조들 사이에서, 
주의가 이동하면서 조성되는 형식들로 나타난다.

마지막 구절에서,

관찰자는, 
관찰된 사실들과
그 사실들에 입각해 반성적 추상으로 
관찰된 살기 주체의 입장에서 얻은 결과, 말인즉,
확증된 가설들을,
관찰된 살기 주체한테서 해리시킨다.
그럼으로써,
오직 관찰자만이,
특정 주체와 그의 환경과 관계를 지시(언급)할 수 있으며,
확증된 가설로서
그 주체의 (생물학적/개념적구조들이
목하,
관찰자 관점에서 관찰되는 
그 주체의 살며 일하는 세상과 
맺는 관계를 특징지을 수 있을 뿐이다.

 
No. Subject Author Date Views
69 '지각(그리고 여타) 경험들의 코어'로서 '자아'만이 개체 자신의 제어와 책임의 진정한 중심이다. 나공 2014.07.05 828
68 맘에 들지 않는 용어 '선험(的)'으로 번역되는 용어 'transendental'에 대해 나공 2014.06.29 818
67 개념 분석에서 생겨난 기계 번역을 자연어 번역에 적용하려는 시도 나공 2014.06.23 816
66 삼독(三毒)의 기원으로서 진선미(眞善美) 나공 2014.06.27 808
65 ‘La prise de conscience’에 대한 해석과 의식(알아차림)의 층위 나공 2014.07.03 803
64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이들한테는 보여줄 수 없는 것들 나공 2014.06.23 792
63 비트겐쉬타인이 <‘의자’ 말하기와 의자 ‘모양’ 말하기 사이 차이> 주목으로 해낸 것 나공 2014.07.05 786
62 삐아제의 '반사'란 자율성의 기초로서 타고난 성(性)이다. [1] 나공 2014.07.06 782
61 '반복'과 '투사'로 만들어지는 확인 불가능한 기만적 관념들 나공 2014.07.04 769
60 '펼쳐 보여지는 바'가 '경험'이 되기 위한 조건 나공 2014.06.30 766
59 스펜서의 공리들 가운데 <자기-지시 = 무표 공간>에 대한 해석 하나 나공 2014.07.05 734
58 삐아제의 경험 세계 창조하기의 시작으로서, 스펜서 브라운의 '구별' 나공 2014.07.04 732
» '관찰자와 관찰된 것'의 구별에 도움이 되는 '주체' 용법에 대한 구별 나공 2014.07.03 718
56 '관찰자 관점에'가 아니라 '생존하려는 또는 배우려는 유기체 관점'에서 보는 귀납 나공 2014.07.06 708
55 '주의 집중과 주의 분산'과 '유표 공간과 무표 공간'의 유사성 나공 2014.07.06 702
54 인지적 맹점을 객관성으로 응대하는 망상에 대한 대안적 태도 나공 2014.06.26 699
53 '유추'로 번역되는 'analogy'에 대해 나공 2014.06.29 682
52 내가 단어 'world'에 대해 '세상'과 '세계'를 구별하게 된 대목 나공 2014.07.05 682
51 용어 누머논(noumenon)에 대한 이해 나공 2014.06.30 679
50 용어 'ratio'의 의미와 한국어 '알'의 유사성 나공 2014.06.29 673

Member:
8
New documents:
0
Registered Date:
2014.06.19

today:
3
yesterday:
62
Total:
305,1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