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dical Constructivism: 알기와 배우기의 한 방식(1995)에 대한 NHK의 주석 게시판
No. Subject Author Date Views
69 인간 개체의 발달적 과정에 다름 아닌 제임스 조이스의 미학적 3단계 나공 2014.07.05 769
68 개념 분석에서 생겨난 기계 번역을 자연어 번역에 적용하려는 시도 나공 2014.06.23 767
67 ‘La prise de conscience’에 대한 해석과 의식(알아차림)의 층위 나공 2014.07.03 734
66 삐아제의 '반사'란 자율성의 기초로서 타고난 성(性)이다. [1] 나공 2014.07.06 730
65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이들한테는 보여줄 수 없는 것들 나공 2014.06.23 724
64 '반복'과 '투사'로 만들어지는 확인 불가능한 기만적 관념들 나공 2014.07.04 722
63 비트겐쉬타인이 <‘의자’ 말하기와 의자 ‘모양’ 말하기 사이 차이> 주목으로 해낸 것 나공 2014.07.05 715
62 삼독(三毒)의 기원으로서 진선미(眞善美) 나공 2014.06.27 708
61 맘에 들지 않는 용어 '선험(的)'으로 번역되는 용어 'transendental'에 대해 나공 2014.06.29 707
60 '펼쳐 보여지는 바'가 '경험'이 되기 위한 조건 나공 2014.06.30 678
59 스펜서의 공리들 가운데 <자기-지시 = 무표 공간>에 대한 해석 하나 나공 2014.07.05 655
58 '관찰자 관점에'가 아니라 '생존하려는 또는 배우려는 유기체 관점'에서 보는 귀납 나공 2014.07.06 654
57 '주의 집중과 주의 분산'과 '유표 공간과 무표 공간'의 유사성 나공 2014.07.06 651
56 용어 누머논(noumenon)에 대한 이해 나공 2014.06.30 648
55 삐아제의 경험 세계 창조하기의 시작으로서, 스펜서 브라운의 '구별' 나공 2014.07.04 644
54 내가 단어 'world'에 대해 '세상'과 '세계'를 구별하게 된 대목 나공 2014.07.05 633
53 '유추'로 번역되는 'analogy'에 대해 나공 2014.06.29 632
52 용어 'ratio'의 의미와 한국어 '알'의 유사성 나공 2014.06.29 628
51 인지적 맹점을 객관성으로 응대하는 망상에 대한 대안적 태도 나공 2014.06.26 620
50 '관찰자와 관찰된 것'의 구별에 도움이 되는 '주체' 용법에 대한 구별 나공 2014.07.03 619

Member:
8
New documents:
0
Registered Date:
2014.06.19

today:
4
yesterday:
72
Total:
292,9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