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dical Constructivism: 알기와 배우기의 한 방식(1995)에 대한 NHK의 주석 게시판

'기억'이란 단어는 

'기억하다'로도, 그리고 그 역으로 '기억나다'로도 쓰인다. 

후자는 기억을 떠올리는 것으로 '억기하다'는 단어가 있지만,

통상 거의 쓰이지 않으며, '상기하다'와 같은 의미로 쓰인다.

전자와 후자를 영어로 구별하자면, 'memorize'와 'remember'가 되겠지만,

오늘날 한국어에서는 전자 후자 모두에 '기억하다'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맥락에 따라 구별할 수 있지만, 종종 혼동을 야기하는 경우도 있다. 


우리가 용어 '기억'을 사용할 때, 통상 이 용어는 '기억된 것'을 가리킨다.

그리고 '그것을 기억나거나 억기하거나 상기한다'고 말할 때,

우리는 그것을 통상 기억된 그대로 꺼내거나 떠올린다고 여긴다.


하지만, 조금만 주의를 기울여, 

지금 과거 기억이라고 마음에서 펼쳐지고 있는 것이

과연, 그때 그렇게 기억된 것인지 돌이켜 볼 수 있다면,

결코 같지 않다는 것을 알아차릴 것이다.


해서, 모든 기억은 현재 보고 있는 바로서 재구성이라는 관점이 있다.

이러한 시각에서 보아

화두지금, 여기

<과거란 현재 생각하고 행위하는 자가 가진 개념으로 재구성한 기억이며

미래란 아직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공간에 상상으로 투사된 현재 바라는 기대들이다>로 이해할 경우,

과거와 미래는 지금, 여기현재의 일부가 된다


물론, 과거와 미래가 사라진다거나 고려할 필요가 없다는 것으로 생각될 수는 없다

하지만, 그 도구로서 화두가, 일상에서, 실효성 있게 작동하려면

과거가 현재를 뒤흔드는 일과 미래 가상공간이 현재를 점하는 바가 최소가 될 때다


하지만, 대체로 대다수 이들한테

그러한 과거와 미래 공간들이란 

현재에서 그 실재성을 강력하게 요구하는 것들이며

그것들을 항상 지금, 여기에 들어맞게끔 재구성하지 않고 털어내는 경우

매번 세상의 급격한 수축은 피할 수 없는 것이 된다


고로, 그러한 과거와 미래의 것들이란

실상, 해결되어야 할 현실의 피할 수 없는 문제들이지

대수롭지 않게 잊혀져야 할 것들이나 포기되어야 할 것들이 아니다.

No. Subject Author Date Views
89 RC는 유아론도 실재론도 아니다. 나공 2014.06.22 956
88 용어 “a priori(아 프리오리)”와 “a posteriori(아 포스테리오리)”를 소리나는 대로 표기하는 이유 나공 2014.06.29 948
87 용어 ‘Radical Constructivism’의 번역어 선택에 관해 나공 2014.06.22 947
86 기억, 개체 동일성, 그리고 텔레파시 나공 2014.07.19 933
85 학의 전제들과 그 순환성 나공 2014.07.06 926
84 책임을 행위와 생각들 자체에 귀속된 것으로 여기는 일관된 사고 방식으로서 RC 나공 2014.06.25 914
» 기억 그리고 상기(想起)에 관해 나공 2014.06.23 900
82 인지 주체가 창조하는 관념들 사이 연결 원리: 닮음, 인접, 인과 나공 2014.06.29 900
81 전능한 창조주에 대한 칸트의 당연시가 강변(强辯)인 까닭? 나공 2014.07.11 898
80 재현과 표상에 대한 신앙 포기가 실재성 부정과 같은 것으로 간주하는 어리석음 나공 2014.06.24 886
79 1장 4p: 문장 구성에서 일의적 원칙과 언어적 느슨함 나공 2014.07.08 884
78 존재적 세상과 존재론적 세계의 이중적 구별 필요 나공 2014.07.12 881
77 표현과 문장에서 능동적 에이전트가 어디에 주어지느냐에 따른 차이 나공 2014.06.24 881
76 ‘Scientific Reasoning Research Institute’에서 하는 일 나공 2014.06.25 879
75 개개인의 윤리에 대한 연구는 철학의 주제라기보다는 심리학이나 사회학에 속해야 할 이유 나공 2014.08.03 873
74 데카르트가 확실한 지식 탐색에 실패한 나머지 의지한 신덕송 나공 2014.06.27 873
73 가급적 사용하지 말아야 할 용어, '객관성' 나공 2014.06.23 861
72 프로이드의 자기 배반 나공 2014.06.23 855
71 인간 개체의 발달적 과정에 다름 아닌 제임스 조이스의 미학적 3단계 나공 2014.07.05 844
70 저자가 자신의 알기이론에 인식론이라는 용어를 쓰기를 꺼려한 까닭은? 나공 2014.06.22 839

Member:
8
New documents:
0
Registered Date:
2014.06.19

today:
39
yesterday:
62
Total:
305,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