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dical Constructivism: 알기와 배우기의 한 방식(1995)에 대한 NHK의 주석 게시판
 1953년의 철학적 탐구에서 ... 그는 단어의 ‘신호’ 기능을, ... 재연 생성에 의존하는 ‘상징’ 기능에서 깔끔하게 분리하고 있다. .....
     표현 ‘언어 게임’은 핵심 슬로건이 되었다. 이 슬로건은, ...  수많은 이들한테, 언어를 특정 사회의 모든 성원들이 공유하게 된 객관적인 것으로 생각하도록 오도(誤導)했다.            
     내 조망에서, 이러한 해석은 잘못된 것이다. 그러한 해석이 고려치 못한 것은, 비트겐쉬타인이 이들 두 가지 요점을 프레게 준거(準據) 이론과 <30여 년 전 자신이 Tractatus에서 썼던 것들> 상당수에 대한 그의 반론의 일환으로 삼았다는 점이다. 그의 후기 저작 1부에서, 그의 주요 관심사는, 단어들은 관찰자와 독립된 대상들을 지시한다는 생각(觀念)을 깨부수는 것이었으며, 그 일을 그는, <‘의자’ 말하기와 의자 ‘모양’ 말하기 사이 차이>에 주목함으로써, 훌륭히 해냈다(ibid., par.35). 비트겐쉬타인 왈, 의자는 가리켜질 수 있으나, 모양은 그럴 수 없다. 
     실상, 어떤 언어에든, 지각 가능한 지시된 대상들을 그저 가리키는 것만으로는 설명될 수 없는 의미를 갖는 수많은 단어들이 있다. 모양이 좋은 사례인 까닭은, 누구든 이것을 색깔을 보는 방식으로 볼 수도, 뜨겁거나 찬 걸 느끼는 방식으로 느낄 수도 없기 때문이다. 단어 ‘모양’의 의미는, 고로, 감지들이 집어낼 수 있는 독립된 어떤 것이 아니다 . 이 사례로, 비트겐쉬타인은 논리주의자들의 준거(準據) 이론을 아주 성공적으로 반박했다. 그러나 그는 단어 ‘모양’을 위한 의미가 어떻게 생성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답하지 않았다.
에서,

<‘의자’ 말하기와 의자 ‘모양’ 말하기 사이 차이>에 주목한
철학적 탐구 34, 35절 (nhk 번역)

34. 하지만 누군가 다음과 같이 말한다고 하자:  “모양을 주시할 때면 항상 같은 일을 하지요: 내 눈은 윤곽을 따라가며 나는 ... 느끼죠”. 그리고 이 사람이 또 다른 사람한테, 특정 둥근 대상을 가리키며 이 모든 것들을 경험하며, “그것은 <원(圓)>이라 불린다”고 그럴듯한 정의를 주고 있다고 하자 — 청자가 화자 눈이 그 윤곽을 쫓아가고 있는 것을 보고 있음에도, 그리고 그 화자가 느끼는 것을 느끼고 있음에도, 그 청자는 그 정의를 달리 해석할 수는 없을까? 다시 말해: 그러한 ‘해석’ 역시, 이를테면, “원을 가리킨다”고 들었을 때, 그 청자가 그때 <그 단어>를 사용한 방식에; 그가 가리킨 것에 달려 있을 것이다 — 해서, 그러그러한 방식으로 그 정의를 뜻하려는 표현이든, 그러그러한 방식으로 그 정의를 해석하는 표현이든, 그 어떤 것도, [그러한 정의(定意) 주기 그리고 듣기를 동반하는 {과정}]을 상징(代身, 代表, 再現)할 수 없다. 

35. 물론, (이를테면) 모양 가리키기와 같은 “개성적(個性的) 경험들”이라 불릴 수 있는 것들이 있다. 예를 들어, 자신의 손가락이나 눈으로 자신이 가리킨 바 윤곽 쫓아가기 같은 것이다. — 하지만, 이런 일은 내가 그 모양을 뜻하고자 한 모든 사례들에서 일어나지 않으며, 더 이상 다른 그 어떤 개성적 과정도 이들 모든 사례들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 게다가, 그러한 것이 모든 사례들에서 재발했다 할지라도, 그것은 여전히 그 여건에, 즉, 가리키기 전후 일어난 일들에 — “그가 가리킨 것은 색깔이 아니라 그 모양이었다”고 우리가 말해야 하는지 아닌지에 — 달려 있을 것이다.
   
“모양을 가리킨다”, “모양을 의미한다”, 그리고 등등의 단어들은, “(저 책이 아닌) 이 책을 가리킨다”, “그 테이블이 아닌 그 의자를 가리킨다”, 그리고 등등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되지는 않는다. — “이것을 가리킨다”, “저것을 가리킨다”와 달리, “모양이 아닌 색깔을 가리킨다”, “색깔을 의미한다”, 등등을 우리가 얼마나 다르게 배웠는가만을 생각하라. 반복하면: 일정 사례들에서, 특히 누군가 ‘모양’이나 ‘수(數)’를 가리키고 있을 때 개성적 경험들이 있고 — 그 경험들이 (항상은 아니고) 자주, 모양이나 수가 의도된 경우, 재발하기 때문에 — ‘개성적인’ 가리키기 방식들이 있다. 하지만, 당신 역시 하나의 장기판의 조각 하나를 하나의 석류석에서 하나의 조각인 것처럼 가리키는 개성적 경험에 대해 알고 있다. 전적으로 다름과 같이 말할 수 있다: “내가 뜻하고자 한 것은, 이 조각을 ‘왕’으로 칭한 것이지, 내가 지금 가리키고 있는 이 구체적 나무 조각을 칭한 것은 아니다.” (알아보기, 소망하기, 상기하기, 등등)

요컨데, 이를테면,
모양이나 수(數)와 같은 경우는 
그 어떤 단어로도 그것을 경험하거나 지닌 자와
독립해서 존재할 수 없다는 설명이다.

그래서, 
[<단어들은 관찰자와 독립해서 존재하는 대상들을 지시한다>는 
생각, 관념을 깨부수고 있다]고 언급한 것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9 담화에서 응대하는 인물이란? 나공 2014.07.03 390
108 '구성 지각'을 '동화나 조정이 수반된 지각'과 구별하기 나공 2014.06.30 418
107 유아론으로 미끌어지지 않고 실재론의 망상을 피하는 구성론의 세상을 마주보는 방식 나공 2014.07.03 419
106 칸트의 '초월(transendent) 철학'이 참작하는 '자연'이란? 나공 2014.06.29 432
105 RC가 몸과 마음의 병발적 발생을 설명하는 일원론임을 설명하는 출발점 나공 2014.07.02 433
104 RC가 취하는 인식론적 외관들과 RC를 특징지우는 방법론들 나공 2014.07.01 434
103 이성의 한계와 현실의 주재자로서 개체가 세상을 대하는 태도 나공 2014.06.29 447
102 철학적 조망에서 본 RC(1995) 나공 2014.07.03 456
101 칸트의 '선험적 범주들'에 대한 구성주의자들의 대체물 나공 2014.07.02 461
100 "진화"에 대한 비판적 실재론과 구성론의 차이 나공 2014.07.01 475
99 우리가 마주하는(vis–à–vis) 세상 나공 2014.07.03 476
98 '대상' 또는 '객체'로 번역되는 용어 'object'의 용법과 확장된 사용들 나공 2014.06.29 480
97 버클리의 '연접'에 대한 생각과 오늘날 '구별'에 대한 생각의 유사성 나공 2014.06.28 481
96 실재, 객관, 보편, 절대, 진리와 같은 용어들을 언급하지 말하야 할 이유 나공 2014.07.03 482
95 의문, <감지(感知)들의 지각이 그 지각을 닮은 외부 대상에 의해 만들어지는가 아닌가?>에 대한 관점에 따른 재구성 나공 2014.06.29 482
94 숙명 지워진 덩어리의 속박에서 벗어나기 나공 2014.07.03 483
93 '의식(consciousness)' 이해을 위한 중요한 지침 하나 나공 2014.07.02 490
92 '학' 또는 '과학'으로 번역되는 용어 'science'의 역사전 변천 나공 2014.06.29 492
91 용어 'appearance'에 대해: 통상 번역되는 '현상'이나 '외관/외양'보다 '현시'나 '출연'이 더 맘에 든다. 나공 2014.06.29 509
90 로크의 '경험'의 범위와 복합 관념에 대한 4가지 유형 나공 2014.06.28 511

회원:
8
새 글:
0
등록일:
2014.06.19

오늘:
3
어제:
62
전체:
305,1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