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dical Constructivism: 알기와 배우기의 한 방식(1995)에 대한 NHK의 주석 게시판

칸트한테, 경험이란?

2014.06.30 14:28

나공 Views:918

"경험이란, 생각하기 주체가 매니폴드의 요소들로 정렬한(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오직 특정 사물들만 구성되고 그밖에 것들은 구성되지 않는다는 건, 이성의 구조에 따라 결정된 사실이다; 이 구조가 바로 칸트가 자신의 선험 철학, 1의 주제로 삼은 것이다. 이 철학을 합리적 관념론이라 부르는 것은 정당하다. 이 철학이 제안하는 모델은, 이성이 자기 자신으로 구성하여, 우주에 대한 견해를 전적으로 관념들로 환원시킨, 고심이 깃든, 독창적 모델이다." 



칸트한테, 경험이란

이해하기(오성)의 산출물, 즉 이해하기가 감지 인상이라는 소재로 작업하며 산출한 것”.... 


하지만

이해하기의 산물인 지식은, 칸트한테

모든 지식이 경험으로 시작된다고 해서, 모든 지식이 경험에서 나오는 것은 아니다였다

"따라서 a priori 지식을

리는 연이어, 이러저러한 류의 경험과 독립된 혹은 별개인 것으로가 아니라 

모든 경험과 절대적으로 독립된 혹은 별개로 이해할 것이다

이와 대척점에는 

경험적 지식 또는 경험을 거치는, , 오직 경험된-(a posteriori)로만 가능한 것들이 있다."



No. Subject Author Date Views
109 존재적 실재(ontic reality)의 의미 나공 2014.07.04 22543
108 ‘발견적 허구’로 기능하는 ‘생각의 산물’로서 '물-그-자체'의 필요성 나공 2014.06.29 20680
107 갈릴레이가 피사의 사탑 도움 없이 '자유낙하 법칙'을 정식화 했다는 바에 대하여 나공 2014.06.27 18704
106 흄의 명시적 공격 목표? 나공 2014.06.29 17651
105 프레게의 의미의 두 가지 형식에 대한 간단한 이해와 'reference'의 용법 나공 2014.07.01 11065
104 케카토와 사이버네틱스 나공 2014.06.23 1619
103 영어 'soul'과 'spirit', 그리고 영(靈)과 혼(넋), 그리고 정신(精神) 나공 2014.06.29 1592
102 정의(definition)의 여러 종류들 나공 2014.07.06 1364
101 RC의 정의에 대한 해설 나공 2014.04.14 1330
100 '세상' 또는 '세계'로 번역되는 'world'의 용법 차이 구별하기 나공 2014.06.23 1329
99 "시공간으로 구조화된 여하한 존재적(ontic) 실재도 감당하는 발견적 허구로서 물-그-자체"에서, 'ontic'의 용법과 그러한 실재의 기능 나공 2014.06.30 1233
98 급진적 구성주의 - 알기와 배우기의 한 방식 목차 나공 2014.04.14 1170
97 유아의 '자아' 발생을 야기하는 '시각장에서 구별'과 스펜서 브라운의 '구별'의 유사성 나공 2014.07.05 1083
96 한 언어로 표현된 동일 개념 구조를 다른 언어로 만든다는 의미로서 번역의 불가능 나공 2014.06.24 1006
95 버나드 쇼가 '잔다르크에 대한 심문' 장면에서 말하고자 한 것. 나공 2014.07.05 985
94 폰 글라저스펠트의 쉬뢰딩거와 인연 나공 2014.06.25 924
» 칸트한테, 경험이란? 나공 2014.06.30 918
92 '이분법'의 각 분과에서 용례들과 잘못된 사례들, 그리고 그 폐해에 대응하는 방식 나공 2014.07.04 895
91 전치사 'by'에서 보여지는 개념 분석 나공 2014.06.24 861
90 용어 “a priori(아 프리오리)”와 “a posteriori(아 포스테리오리)”를 소리나는 대로 표기하는 이유 나공 2014.06.29 858

Member:
8
New documents:
0
Registered Date:
2014.06.19

today:
38
yesterday:
63
Total:
285,8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