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dical Constructivism: 알기와 배우기의 한 방식(1995)에 대한 NHK의 주석 게시판

실상, 출발하면서, 정의 자체로, RC는 실재론과 명확히 선을 긋고 있다


하지만, 실재론이 아니라면

실재론의 인습적 관점과 사고에 익숙한 이가 바로 생각할 수 있는 것은 

유아론이나 유심론일 수밖에 없다


그렇기에

저자는 구성론을 유아론 또는 유심론적 사고라 여기고 빠져드는 

또는 그렇게 여기고 다시 실재론으로 돌아갈 수도 있는

그런 가능성이 정당화될 수 없다는 것을 분명히 한 것이다


실재론에서 구성론으로 전환시 구성론 문턱에서 

구성론을 삶의 전면적 방향타로 장착하는 것은

저자 말로, 최소 7년은 걸린다 했으니 

초입자들한테는, 특히, 한국어 사용 초입자들한테는

한국어 자료의 부족에서, 그나마 부실한 바들 가운데서 

쓸 만한 것 찾아 각 영역, 부분들을 구성론으로 조정하는 일은

만만치 않은 일임은 분명하다.

No. Subject Author Date Views
109 RC의 정의에 대한 해설 나공 2014.04.14 1410
108 급진적 구성주의 - 알기와 배우기의 한 방식 목차 나공 2014.04.14 1232
107 용어 ‘Radical Constructivism’의 번역어 선택에 관해 나공 2014.06.22 891
106 저자가 자신의 알기이론에 인식론이라는 용어를 쓰기를 꺼려한 까닭은? 나공 2014.06.22 808
» RC는 유아론도 실재론도 아니다. 나공 2014.06.22 909
104 기억 그리고 상기(想起)에 관해 나공 2014.06.23 850
103 '세상' 또는 '세계'로 번역되는 'world'의 용법 차이 구별하기 나공 2014.06.23 1406
102 가급적 사용하지 말아야 할 용어, '객관성' 나공 2014.06.23 820
101 프로이드의 자기 배반 나공 2014.06.23 819
100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이들한테는 보여줄 수 없는 것들 나공 2014.06.23 752
99 '형이상학'은 반드시 필요한가? 나공 2014.06.23 918
98 개념 분석에서 생겨난 기계 번역을 자연어 번역에 적용하려는 시도 나공 2014.06.23 790
97 케카토와 사이버네틱스 나공 2014.06.23 1702
96 전치사 'by'에서 보여지는 개념 분석 나공 2014.06.24 911
95 한 언어로 표현된 동일 개념 구조를 다른 언어로 만든다는 의미로서 번역의 불가능 나공 2014.06.24 1066
94 표현과 문장에서 능동적 에이전트가 어디에 주어지느냐에 따른 차이 나공 2014.06.24 834
93 재현과 표상에 대한 신앙 포기가 실재성 부정과 같은 것으로 간주하는 어리석음 나공 2014.06.24 837
92 책임을 행위와 생각들 자체에 귀속된 것으로 여기는 일관된 사고 방식으로서 RC 나공 2014.06.25 871
91 ‘Scientific Reasoning Research Institute’에서 하는 일 나공 2014.06.25 828
90 폰 글라저스펠트의 쉬뢰딩거와 인연 나공 2014.06.25 986

Member:
8
New documents:
0
Registered Date:
2014.06.19

today:
19
yesterday:
116
Total:
298,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