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게시판은 RC(1995)의 주제어 색인에 기초해서, 주제어에 따라 번역문들을 정렬, 연결한 것들이다.

형상적 의미(figurative meaning)

2014.08.14 14:12

나공 조회 수:685

1.

형상적(figurative)’조작적(operative)’ 사이 삐아제의 구별, 그리고 육체적 행하기와 심적 조작하기사이 병발적(竝發的) 구별은, 그의 저작을 통틀어, 그의 이론적 입장을 이해하기 위해 필수불가결한 것들이다.


형상적은 감각 영역을 지시하며, 운동[運動: 운동은 관찰자적 관점에서는 관찰 현상으로, 행위 주체의 관점에서는 ()의 운영(運營)’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다의성이 있다]으로 생성된 감각들(kinaesthesia: 筋運動感覺), 유기체의 (물질)대사로 발생된 감각들(proprioception: 自體發生感覺), 그리고 지각에서 특정 감각 데이터의 합성을 포함한다. ‘행하기는 그러한 감각운동 수준에서 행위들을 가리키며, 감각 대상들과 물리적() 운동을 수반하기에 관찰 가능하다. 특정 감각신호들(/또는) 특정 운동신호들로 합성된 패턴을 얻는 그 어떤 추상도, 삐아제가 실험관찰적(empirical)’이라 부른 것이다. 감각운동 신호들을 아이가 연계, 결합시켜 구성한 대상개념은, 그러므로, ‘실험관찰적(經驗的) 추상이 된다.



2.

<우리가 매번 사과 하나를 상상할 때마다 그것은 특정 색깔을 띠어야 한다고>고 버클리가 주장했을 때, 정말이지, 그는 완벽히 옳았다. 하지만, 이 주장은 우리가 (몇몇 측면들에서 다른, 그럼에도, 그 류()에는 포함되는 아이템()들을 우리가 사과로 알아보도록 하는) 일반 관념을 사과 경험들에서 추상할 수는 없다는 주장에 대한 정당화는 아니었다. 그가 놓쳤던 것은, 그와 같은 일반 관념들은 형상적이 아닌 조작적인 것이라는 점이다. 말하자면, 그것들은 그림엽서 같은 이미지들이 아니라 자신들을 만들어낼 수 있는 조작적 레씨피들이다



3.

형상적 의미들은, 자신들이 추상되었던 감각운동 경험의 그러한 류()의 재연을 불러내기에, 지체 없이 시각화될 수 있는 것들이다. 게다가, 이들 재연들은 자주 불완전하다. 이를테면, 우리 모두는 사지(四肢)로 기어가는 걸 자신들한테 시각화할 수 있지만, , 다리의 움직이는 순서 확정을 위해서는, 많은 성인들의 경우, 그 활동을 반드시 실제로 이행해 보아야 한다는 점을, 삐아제는 입증해 보였다 (1974a, p.15). 



4.

이로써, 불가피하게, <행하기 주체의 알아차림은 언제 그리고 어떻게 수반되는가> 하는 의문이 제기된다.


이러한 문제가 긴급한 까닭은, 우선, 로크가 단어 반성을 인간()학들에 도입한 이후, 이 단어에는 반성하기를 하는 의식적 마음이 함축되는 경향(傾向)이 있기 때문이다. 두 번째 이유는, 삐아제가 형상적조작적을 구별한 많은 곳에서, 그 단어가 조작적인 것들에는 의식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강화시키는 바들(傾向)이 있기 때문이다 (조작적인 것들에 대해, 로크와 삐아제 모두 마음이 그 자신의 조작들 반성하기로 주워 모은 관념들이라 기술했다). 이 문제는, 따라서, 삐아제의 인지발달 이론에서 의식적 반성 깜냥이 제기될 때, 푸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5.

    실험관찰적 추상 개념은, 내가 로크한테서 인용한 구절로 보인 것보다도, 삐아제의 경우 더 넓은 경험 범위를 포괄한다. 로크가 ‘구체적 존재’라 칭한 것들은, 삐아제한테는 다섯 감지(sense)들이 공급한 관념들이었다. 삐아제 조망에서, 보고 만지는 지각은 운동을 수반하기에, 에이전트 자신의 운동으로 야기된 내부감각(筋運動感覺)들은 ‘형상적’인 것들에 속하며, 고로, 그것들이, 그한테, 운동 패턴들의 형식에 해당되는 실험관찰적 추상들을 얻어내는 원자재(原料)라는 점은, 놀랄 일이 아니다.** 


** 케카토의 ‘조작적 분석들’에서 얻은 아이디어를 삐아제 모델에 도입했던 경험에서, 오늘날, 지각에 필수 운동은 꼭 (사지나 눈의) 물리적 운동일 필요는 없다고, 그러나 그것은 지각자의 주의 집중 운동으로 대체될 수 있다고, 나는 믿고 있다 (Glasersfeld, 1981a를 보라).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과학(science) 나공 2014.08.18 1884
공지 물리학(physics) 나공 2014.08.18 1354
공지 존재론(ontology) 나공 2014.08.17 1556
공지 인식론(epistemology) 나공 2014.08.17 1489
공지 발생적 인식론(genetic epistemology) 나공 2014.08.17 1413
공지 적응(adaptation) 나공 2014.08.16 1346
공지 언어 습득(language acquisition) 나공 2014.08.16 1474
공지 언어(language) 나공 2014.08.16 1403
공지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나공 2014.08.16 1324
공지 번역(translation) 나공 2014.08.16 2420
공지 이성(reason) 나공 2014.08.16 1881
공지 도구주의(instrumentalism) 나공 2014.08.15 24059
공지 인지의 바이어빌러티(viability of cognition) 나공 2014.08.15 2274
공지 심적 조작(mental operation) 나공 2014.08.14 1401
공지 형이상학(metaphysics) 나공 2014.08.14 1419
공지 경험(experience) [1] 나공 2014.08.14 1453
공지 세계, 세상, 그리고 양자를 포괄하는 세상에 대한 구별 나공 2014.08.13 1596
공지 실재(reality) - 그 다의성을 맥락에 따라 일의적으로 확정하기 나공 2014.08.12 1527
공지 객관적 실재(objective reality) 나공 2014.08.12 5459
공지 객관성(objectivity) 나공 2014.08.12 1523
공지 상호작용(interaction) 나공 2014.08.12 1386
공지 사회적 상호작용(social interaction) 나공 2014.08.12 1321
공지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 나공 2014.08.12 1654
공지 실재의 구성(construction of reality) 나공 2014.08.11 2213
공지 수학(mathematics) 나공 2014.08.11 3219
공지 세기(counting) 나공 2014.08.11 7519
공지 기하학(geometry) 나공 2014.08.11 2521
공지 수 이론(number theory) 나공 2014.08.11 2807
공지 지각(perception) 나공 2014.08.11 2340
공지 칸트의 '선험적 기획'(Kant's 'Transcendental Enterprise) 나공 2014.08.11 2158
공지 감각(sensation) 나공 2014.08.11 2121
공지 가설적 모델들(hypothetical models) 나공 2014.08.11 1682
공지 개념적 분석(conceptual analysis) 나공 2014.08.10 2446
공지 가르치기 방법들(teaching methods) 나공 2014.08.10 5168
공지 급진적 구성주의(Radical Constructivism) 나공 2014.08.10 1458
공지 구성주의(Constructivism) 나공 2014.08.10 1425
공지 아이들(children) 나공 2014.08.09 1391
공지 재연(re-presentation) 나공 2014.08.09 1609
공지 언어적 상호작용들(linguistic interactions) 나공 2014.08.09 1699
공지 행위 스킴(action scheme) 나공 2014.08.08 1398
공지 상징들(symbols) 나공 2014.08.07 1577
공지 추상에 대한 삐아제 이론(Piagetian theory) 나공 2014.08.07 1352
공지 수학적 개념들(mathematical concepts) 나공 2014.08.07 1636
공지 추상(abstraction) 나공 2014.08.07 1405
공지 자아(self) 개념 나공 2014.08.07 1576
공지 알아차림(awareness) 나공 2014.08.06 1576
공지 주의(attention) 나공 2014.08.06 1401
193 과학(science) 나공 2014.08.18 1884
192 천문학(astronomy) 나공 2014.08.18 717
191 생물학(biology) 나공 2014.08.18 752
190 과학 철학(philosophy of science) 나공 2014.08.18 694
189 물리학(physics) 나공 2014.08.18 1354
188 존재론(ontology) 나공 2014.08.17 1556
187 인식론(epistemology) 나공 2014.08.17 1489
186 실재론(realism) 나공 2014.08.17 678
185 관념론(idealism) 나공 2014.08.17 720
184 경험론 또는 실험관찰론(empiricism) 나공 2014.08.17 959
183 심리학(psychology) 나공 2014.08.17 568
182 발생적 인식론(genetic epistemology) 나공 2014.08.17 1413
181 행동주의(behaviourism) 나공 2014.08.17 727
180 적응(adaptation) 나공 2014.08.16 1346
179 진화론적 인식론(evolutionary epistemology) 나공 2014.08.16 651
178 언어 습득(language acquisition) 나공 2014.08.16 1474
177 언어(language) 나공 2014.08.16 1403
176 의미론적 분석(semantic analysis) 나공 2014.08.16 660
175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나공 2014.08.16 1324
174 커뮤니케이션 이론(Theory of Communication) 나공 2014.08.16 596
173 번역(translation) file 나공 2014.08.16 2420
172 이성(reason) 나공 2014.08.16 1881
171 주관성(subjectivity) file 나공 2014.08.16 647
170 반성적 추상(reflective abstraction) 나공 2014.08.16 963
169 실험관찰적 또는 경험적 추상(empirical abstraction) 나공 2014.08.16 616
168 반성(reflection) 나공 2014.08.16 725
167 목표-지향성(goal-directedness) [1] 나공 2014.08.16 676
166 요동(perturbation) 나공 2014.08.16 618
165 기억(memory) 나공 2014.08.16 626
164 알아보기 또는 재인(recognition) 나공 2014.08.15 679
163 의미(meaning) 나공 2014.08.15 670
162 이해하기 이해하기(To understand understanding) 나공 2014.08.15 610
161 도구주의(instrumentalism) 나공 2014.08.15 24059
160 시각장(visual field) 나공 2014.08.15 676
159 인지 발달(cognitive development) 나공 2014.08.15 572
158 인지의 바이어빌러티(viability of cognition) 나공 2014.08.15 2274
157 귀납적 추리(inductive reasoning) 나공 2014.08.14 640
156 조작적 스킴(operational scheme) 나공 2014.08.14 691
155 심적 조작(mental operation) 나공 2014.08.14 1401
154 회의주의 또는 회의론(scepticism) 나공 2014.08.14 961
153 형이상학(metaphysics) 나공 2014.08.14 1419
152 신비주의(mysticism) 나공 2014.08.14 622
» 형상적 의미(figurative meaning) 나공 2014.08.14 685
150 감각운동 경험(sensorimotor experience) 나공 2014.08.14 645
149 경험(experience) [1] 나공 2014.08.14 1453
148 관찰(observation) 나공 2014.08.13 726
147 대상 영속(object permanence) 나공 2014.08.13 692
146 대상-개념들(object-concepts) 나공 2014.08.13 628
145 세계, 세상, 그리고 양자를 포괄하는 세상에 대한 구별 나공 2014.08.13 1596
144 세상(A World behind The World Constructed) 나공 2014.08.13 741
구성에 성취가 있기를!

회원:
8
새 글:
0
등록일:
2014.06.19

오늘:
10
어제:
66
전체:
285,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