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게시판은 RC(1995)의 주제어 색인에 기초해서, 주제어에 따라 번역문들을 정렬, 연결한 것들이다.

적응(adaptation)

2014.08.16 23:00

나공 Просмотры:1378

1.

돌아보면, 연체동물 연구가 삐아제 지적 이력을 결정했다고 할 수도 있다. 그가 이들 생명체에 대한 세심한 관찰로 주목한 것은, 그것들이 사는 위치가 흐르는 물이냐 고인 물이냐에 따라 그 껍질들은 그 모양을 달리하고 있다는 점이었다. 그것은 적응에 대한 선명한 실례였다. 하지만, 연체동물 몇몇을 한쪽 환경에서 다른 쪽에 이식함으로써 그가 찾아낸 건, 그것들의 껍질 모양은 계통발생적 적응이 아닌 개체발생적 적응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는 점이었다. 이러한 차이는, 아주 분명히, 그의 흥미를 자극했고, 인간 차원에서 가장 감동적으로 나타나는 생명 유기체의 개체발생적 적응 깜냥, , 알기 능력을 연구하는 데에 그의 이후 한 평생을 바치도록 했다



2.

초기에 속하는 이 책이 보여주려 한 것은, 인간 젖먹이들은 자신들을 위해 그들이 경험하는 실재를 구성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와 같은 실재를 우리가 독립된 것으로 전제(當然視)하든 안하든, 실상, 그들은 반드시 이 일을 해야 한다. 물론, 이 책은 특정 유아의 실재 구성을, 엄마, 아빠, 곰 인형, 그리고 요강으로 상세히 설명하지 않지만, 개체 실재의 핵심 구조를 이루는 기초 개념들이, 그 같은 구조 자체가 실존한다는 전제(當然視) 없이, 쌓아올리는 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삐아제 이론의 주춧돌이자, 모든 전통 지식 이론들과 삐아제 이론 사이 가장 중요한 차이다. 그의 격언, ‘지식은 상위(上位)의 적응 형식이다의 직접적 귀결로, 인지를 존재론적 실재에 대한 재현(表象) 산출자로 보는 생각을 버리고, 인지를, 그 대신, ‘바이어블할 개념구조들 구성을 목적으로 하는, 적응 도구로 생각했다



3.

유기체가 평생 겪는 여하한 상황도 또 다른 상황과 정확히 같지는 않을 것이기에, 많은 경우, 차이들이 무시되는 것은 분명 이득이 된다 (따라서, 적응적이다). 다시 관찰자 관점으로 돌아가서, 여기서 특이성(特異性)은 이러한 적응은 통상적 적응과는 반대로 진행되는 걸로 보인다는 점이다: 지각 과정에서 지각되고 있는 것들은 유기체의 개념 구조에 맞아들기 위해 수정되지만, 반면, 일반 생물학적 의미에서 자연선택은 유기체들의 구조를 수정함으로써 그것들이 그들 환경의 고유한 제약들에 맞아들도록 한다. 이러한 적응 과정의 명백한 역전(逆轉), 독립된 실재에 자체로 실존하는 대상들을 지각하는 유기체 견지에서 생각하는 한, 이상하게 보일 것이다. 하지만, 구성론자 관점에서, 적응은 사물-자체들로 조성된 외부 세상과 맞서 대등해지는 걸 뜻하는 것이 아니라, 유기체의 평형을 개선하는 것, , 경험된 제약들과 관련해서 자신을 들여 맞추는 일을 뜻한다. 이는 구성론 모델의 가장 중요한 측면이며, 우리는 이 점으로 되돌아 갈 것이다



인지적 바이어빌러티

http://www.cysys.pe.kr/zbxe/RRC/324678



진화론적 인식론

http://www.cysys.pe.kr/zbxe/RRC/324729

No. Заголовок Автор записи Дата Просмотры
Уведомление 과학(science) 나공 2014.08.18 1918
Уведомление 물리학(physics) 나공 2014.08.18 1382
Уведомление 존재론(ontology) 나공 2014.08.17 1593
Уведомление 인식론(epistemology) 나공 2014.08.17 1520
Уведомление 발생적 인식론(genetic epistemology) 나공 2014.08.17 1442
» 적응(adaptation) 나공 2014.08.16 1378
Уведомление 언어 습득(language acquisition) 나공 2014.08.16 1512
Уведомление 언어(language) 나공 2014.08.16 1435
Уведомление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나공 2014.08.16 1356
Уведомление 번역(translation) 나공 2014.08.16 2457
Уведомление 이성(reason) 나공 2014.08.16 1914
Уведомление 도구주의(instrumentalism) 나공 2014.08.15 24136
Уведомление 인지의 바이어빌러티(viability of cognition) 나공 2014.08.15 2306
Уведомление 심적 조작(mental operation) 나공 2014.08.14 1436
Уведомление 형이상학(metaphysics) 나공 2014.08.14 1455
Уведомление 경험(experience) [1] 나공 2014.08.14 1482
Уведомление 세계, 세상, 그리고 양자를 포괄하는 세상에 대한 구별 나공 2014.08.13 1632
Уведомление 실재(reality) - 그 다의성을 맥락에 따라 일의적으로 확정하기 나공 2014.08.12 1560
Уведомление 객관적 실재(objective reality) 나공 2014.08.12 5492
Уведомление 객관성(objectivity) 나공 2014.08.12 1560
Уведомление 상호작용(interaction) 나공 2014.08.12 1417
Уведомление 사회적 상호작용(social interaction) 나공 2014.08.12 1350
Уведомление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 나공 2014.08.12 1687
Уведомление 실재의 구성(construction of reality) 나공 2014.08.11 2244
Уведомление 수학(mathematics) 나공 2014.08.11 3256
Уведомление 세기(counting) 나공 2014.08.11 7543
Уведомление 기하학(geometry) 나공 2014.08.11 2557
Уведомление 수 이론(number theory) 나공 2014.08.11 2838
Уведомление 지각(perception) 나공 2014.08.11 2375
Уведомление 칸트의 '선험적 기획'(Kant's 'Transcendental Enterprise) 나공 2014.08.11 2182
Уведомление 감각(sensation) 나공 2014.08.11 2162
Уведомление 가설적 모델들(hypothetical models) 나공 2014.08.11 1717
Уведомление 개념적 분석(conceptual analysis) 나공 2014.08.10 2486
Уведомление 가르치기 방법들(teaching methods) 나공 2014.08.10 5198
Уведомление 급진적 구성주의(Radical Constructivism) 나공 2014.08.10 1496
Уведомление 구성주의(Constructivism) 나공 2014.08.10 1457
Уведомление 아이들(children) 나공 2014.08.09 1420
Уведомление 재연(re-presentation) 나공 2014.08.09 1652
Уведомление 언어적 상호작용들(linguistic interactions) 나공 2014.08.09 1730
Уведомление 행위 스킴(action scheme) 나공 2014.08.08 1451
Уведомление 상징들(symbols) 나공 2014.08.07 1615
Уведомление 추상에 대한 삐아제 이론(Piagetian theory) 나공 2014.08.07 1382
Уведомление 수학적 개념들(mathematical concepts) 나공 2014.08.07 1671
Уведомление 추상(abstraction) 나공 2014.08.07 1441
Уведомление 자아(self) 개념 나공 2014.08.07 1608
Уведомление 알아차림(awareness) 나공 2014.08.06 1606
Уведомление 주의(attention) 나공 2014.08.06 1436
193 아 프리오리 추리(推理) 나공 2014.08.05 920
192 "transcendental" 철학, 소위, "선험" 철학 [1] 나공 2014.08.05 946
191 원시시간과 원시공간(칸트의 아 프리오리 범주로서 시간과 공간에 대한 구성론자들의 대체물) 나공 2014.08.05 1051
190 자기-지시(self-reference) [1] 나공 2014.08.05 910
189 주의(attention) 나공 2014.08.06 1436
188 알아차림(awareness) 나공 2014.08.06 1606
187 의식(意識) 나공 2014.08.06 668
186 꿈(dream) 나공 2014.08.07 736
185 자아(self) 개념 나공 2014.08.07 1608
184 칵테일 파티 효과(cocktail party effect) 나공 2014.08.07 773
183 심적 조작들 나공 2014.08.07 779
182 모양(shape) 나공 2014.08.07 669
181 일차, 이차 성질 또는 속성들 나공 2014.08.07 860
180 지도 판독(map reading) 나공 2014.08.07 695
179 추상(abstraction) 나공 2014.08.07 1441
178 추상적 수 개념들 나공 2014.08.07 685
177 주의 반복하기(iterating attention) 나공 2014.08.07 700
176 수학적 개념들(mathematical concepts) 나공 2014.08.07 1671
175 추상에 대한 삐아제 이론(Piagetian theory) 나공 2014.08.07 1382
174 상징들(symbols) 나공 2014.08.07 1615
173 스킴 이론(scheme theory) file 나공 2014.08.08 860
172 발달 시기들(stages of development) 나공 2014.08.08 905
171 시기(단계) 이론(stage theory) 나공 2014.08.08 5174
170 반사들(reflexes) 나공 2014.08.08 690
169 동화(assimilation) 나공 2014.08.08 771
168 도구적 배우기(instrumental learning) 나공 2014.08.08 665
167 조정(accommodation) 나공 2014.08.08 723
166 배우기(learning) 나공 2014.08.08 701
165 평형화(equilibration) 나공 2014.08.08 825
164 행위 스킴(action scheme) 나공 2014.08.08 1451
163 일반화(generalization) 나공 2014.08.08 652
162 일반화하는 추상(generalizing abstraction) 나공 2014.08.08 726
161 실험관찰적 구성(empirical construction) 나공 2014.08.09 694
160 변화(change) file 나공 2014.08.09 782
159 개체 동일성(individual identity) 나공 2014.08.09 748
158 동등(equivalence) 나공 2014.08.09 687
157 형식과 내용(form and content) 나공 2014.08.09 722
156 반성(reflection) 나공 2014.08.09 708
155 언어적 상호작용들(linguistic interactions) 나공 2014.08.09 1730
154 언어 게임들(language games) 나공 2014.08.09 711
153 의미 구성(The construction of meaning) 나공 2014.08.09 1080
152 언어와 실재(language and reality) 나공 2014.08.09 699
151 과거 경험들 재연하기(Re-presenting past experiences) 나공 2014.08.09 7114
150 에이전트의 필요(The need of agent) 나공 2014.08.09 725
149 추상의 네 가지 종류(four kinds of abstrction) 나공 2014.08.09 1189
148 상징의 권능(power of symbols) 나공 2014.08.09 1044
147 재연(re-presentation) 나공 2014.08.09 1652
146 경험과 실재(experience and reality) 나공 2014.08.09 710
145 경험적-실재의 구성(The construction of experiential reality) 나공 2014.08.09 757
144 종잡기 힘든 정의(An Eluisive Definition) 나공 2014.08.09 737
구성에 성취가 있기를!

Пользователь:
8
Новые документы:
0
Дата регистрации:
2014.06.19

Сегодня:
4
Вчера:
72
Всего:
292,9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