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게시판은 RC(1995)의 주제어 색인에 기초해서, 주제어에 따라 번역문들을 정렬, 연결한 것들이다.

        트래이닝보다는 가르치기

구성론적 생각하기 방식을 채택하려면, 교육적 관행 저변에 깔린 상당수 핵심 개념들을 개조(改造)해야 한다. 배우기와 커뮤니케이션의 과정, 정보와 지식의 본성, 타자들과 상호작용, 동기유발 현상에 관한 이론적 생각(觀念)들을 구성론적 조망에서 보게 되면, 그것들은 모두 바뀐다. 이들 변화들 가운데 대다수는, 앞 장들에서, 일반적 방식으로 언급되거나 함축되었다. 이 장에서는 그것들의 교육적 맥락(狀況)에서 효과들을 짚어볼 것이다. 

    가르치기와 트래이닝(訓練)은, 그 방법에서 차이가 나는, 따라서, 전혀 다른 결과를 초래하는 두 가지 관행이다. 나는 이를 수없이 반복했다. 그럼에도, 아주 최근에서야, 이에 대해서도 칸트와 견해를 같이하고 있음을 발견했다. 2장의 간략한 역사적 개관을 쓰면서, 여러 차례 칸트 전집으로 되돌아가 전에는 결코 읽지 못했던 절들과 마주쳤다. 그의 생전 출판된 저작들을 담고 있는 마지막 권 volume IX에서, 나는 페다고지(敎授術)에 관한 그의 에세이를 발견했다. 이것은 그가 죽기 바로 전 해, 1803년에 발행되었다. 

인간은, 그저 훈련되어 망가진 나머지 기계적으로 지시받는 존재가 될 수도, 정말 계몽된 존재가 될 수도 있다. 개와 말을 훈련시키듯, 인간 역시 훈련시킬 수 있다. 그렇지만 훈육이 잘되는 일은 거의 없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아이들이 생각하는 걸 배우는 일이다. 그 목표는 모든 행위들이 비롯되는 원리(原理)들이어야 한다. (Kant, 1803, Werke, vol ix, p.450)
 
    칸트 시대, 이는 양자택일로 보였던 것 같다. 우리는 행동(行態)주의 운동이 합리적 계몽의 경로를 제거했던 업보(反理性主義)를 안고 있다. 환경–자극들과 보상–강화에만 전적으로 집중함으로써, 행동주의는 생각하기(思惟)에 대한 관심을 효과적으로 지워버렸다. 성과(成績)만이 유일한 목표가 되었다. 그 결과로, 학생들한테 고작 교사가 말하거나 교과서에 있는 것을 상기할 것만을 요구하는 시험들을 계속해서 시행하고 있다. 그런 시험들은 이해하기가 아닌 기억과 암기 학습을 검사한다. 이해하기는, 마음과 의미처럼, ‘전–과학적, 유심론적’ 허구로 간주되었다 (Skinner, 1971, pp.12–23를 보라). 

    구성론의 관점에서, 행동주의의 ‘자극’과 ‘강화’라는 생각들은 순진(素朴)하며 기만적이다. 그렇지만, 행동주의 운동은 수십 년 전 엄청 강력했을 뿐만 아니라 수많은 교육자들 마음에 아직도 살아 활동하고 있다. 고로, 행동주의의 이들 기본 용어와 관련해서 우리의 개념적 차이들을 논하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과학(science) 나공 2014.08.18 2006
공지 물리학(physics) 나공 2014.08.18 1471
공지 존재론(ontology) 나공 2014.08.17 1691
공지 인식론(epistemology) 나공 2014.08.17 1633
공지 발생적 인식론(genetic epistemology) 나공 2014.08.17 1547
공지 적응(adaptation) 나공 2014.08.16 1467
공지 언어 습득(language acquisition) 나공 2014.08.16 1604
공지 언어(language) 나공 2014.08.16 1558
공지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나공 2014.08.16 1448
공지 번역(translation) 나공 2014.08.16 2538
공지 이성(reason) 나공 2014.08.16 2011
공지 도구주의(instrumentalism) 나공 2014.08.15 24277
공지 인지의 바이어빌러티(viability of cognition) 나공 2014.08.15 2399
공지 심적 조작(mental operation) 나공 2014.08.14 1546
공지 형이상학(metaphysics) 나공 2014.08.14 1538
공지 경험(experience) [1] 나공 2014.08.14 1576
공지 세계, 세상, 그리고 양자를 포괄하는 세상에 대한 구별 나공 2014.08.13 1731
공지 실재(reality) - 그 다의성을 맥락에 따라 일의적으로 확정하기 나공 2014.08.12 1671
공지 객관적 실재(objective reality) 나공 2014.08.12 5593
공지 객관성(objectivity) 나공 2014.08.12 1638
공지 상호작용(interaction) 나공 2014.08.12 1511
공지 사회적 상호작용(social interaction) 나공 2014.08.12 1440
공지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 나공 2014.08.12 1782
공지 실재의 구성(construction of reality) 나공 2014.08.11 2357
공지 수학(mathematics) 나공 2014.08.11 3359
공지 세기(counting) 나공 2014.08.11 7633
공지 기하학(geometry) 나공 2014.08.11 2648
공지 수 이론(number theory) 나공 2014.08.11 2928
공지 지각(perception) 나공 2014.08.11 2496
공지 칸트의 '선험적 기획'(Kant's 'Transcendental Enterprise) 나공 2014.08.11 2262
공지 감각(sensation) 나공 2014.08.11 2259
공지 가설적 모델들(hypothetical models) 나공 2014.08.11 1814
공지 개념적 분석(conceptual analysis) 나공 2014.08.10 2571
공지 가르치기 방법들(teaching methods) 나공 2014.08.10 5292
공지 급진적 구성주의(Radical Constructivism) 나공 2014.08.10 1601
공지 구성주의(Constructivism) 나공 2014.08.10 1563
공지 아이들(children) 나공 2014.08.09 1532
공지 재연(re-presentation) 나공 2014.08.09 1742
공지 언어적 상호작용들(linguistic interactions) 나공 2014.08.09 1817
공지 행위 스킴(action scheme) 나공 2014.08.08 1547
공지 상징들(symbols) 나공 2014.08.07 1714
공지 추상에 대한 삐아제 이론(Piagetian theory) 나공 2014.08.07 1466
공지 수학적 개념들(mathematical concepts) 나공 2014.08.07 1765
공지 추상(abstraction) 나공 2014.08.07 1530
공지 자아(self) 개념 나공 2014.08.07 1701
공지 알아차림(awareness) 나공 2014.08.06 1693
공지 주의(attention) 나공 2014.08.06 1562
143 우리는 어떻게 언어를 쓸 수 있게 되는가(How we may come to use language) 나공 2014.08.09 575
142 왜 커뮤니케이션? 왜 언어? 나공 2014.08.09 575
141 객관성에 대한 의문(Th question of Objectivity) 나공 2014.08.09 571
140 개체 동일성 발생시키기(Generating Individual identity) file 나공 2014.08.09 638
139 아이들(children) 나공 2014.08.09 1532
138 의미론의 기초(The Semantic Basis) file 나공 2014.08.10 854
137 구성주의(Constructivism) 나공 2014.08.10 1563
136 급진적 구성주의(Radical Constructivism) 나공 2014.08.10 1601
135 구성주의 관념의 확산(The spreading of Constructivist Ideas) 나공 2014.08.10 11173
134 구성하기 에이전트들: 자아와 타자들 나공 2014.08.10 601
133 종잡기 힘든 자아(The Elusive Self) 나공 2014.08.10 564
132 환경에 대한 생각(The Notion of Environment) 나공 2014.08.10 563
131 지각된 자아(The Perceived Self) 나공 2014.08.10 591
130 실마리 감각들(Sensory Clues) 나공 2014.08.10 755
129 반사된 이미지들(Reflected Images) 나공 2014.08.10 590
128 사회적 자아(Social Self) 나공 2014.08.10 564
127 언어 분석의 토대(The Foundation of Language Analysis) 나공 2014.08.10 639
126 학생들의 개념 구성하기 북돋기 나공 2014.08.10 787
125 무엇이 우리 목표인가? (What is our goal?) 나공 2014.08.10 584
124 6장 마무리 나공 2014.08.10 671
» 트레이닝보다는 가르치기(Teaching rather than Training) 나공 2014.08.10 860
122 환경 자극들(Environmental Stimuli) 나공 2014.08.10 601
121 강화(Reinforcement) 나공 2014.08.10 563
120 언어의 기만적 특성(The Deceptive Character of Language) 나공 2014.08.10 604
119 방향-잡는 기능(Orienting Function) 나공 2014.08.10 633
118 지각 소재들(Perceptual materials) 나공 2014.08.10 574
117 기하학적 점(A Geometric Point) 나공 2014.08.10 591
116 학생들의 생각하기를 추론할 필요(The Need to Infer Students' Thinking) 나공 2014.08.10 590
115 지침보다는 도움(Help rather than Instruction) 나공 2014.08.10 900
114 반성 육성하기(Fostering Reflection) 나공 2014.08.10 583
113 사회적 상호작용의 비밀(The Secret of Social Interaction) 나공 2014.08.10 570
112 마지막 강조점(A Final Point) 나공 2014.08.10 588
111 가르치기 방법들(teaching methods) 나공 2014.08.10 5292
110 벤담과 비코 - 개념 분석의 개척자들(Bentham and Vico - Pioneers of Conceptual analysis) 나공 2014.08.10 1006
109 개념들의 구성(The Construction of Concepts) 나공 2014.08.10 637
108 운동(motion) 개념 file 나공 2014.08.10 623
107 공간과 시간(space and time) 나공 2014.08.10 662
106 개념적 분석(conceptual analysis) 나공 2014.08.10 2571
105 확실성(certainty, mathematical) 나공 2014.08.10 641
104 주의 모델(The Attention Model) 나공 2014.08.10 583
103 펄스들의 반복(An Iteration of Pulses) 나공 2014.08.10 876
102 지각이기보다는 구상(Conception Rather Than Perception) file 나공 2014.08.10 1156
101 사물과 단위들(Things and Units) 나공 2014.08.10 604
100 여럿의 발생(The Genesis of Plurality) 나공 2014.08.10 620
99 상징들의 가리키기 권능(The 'Pointing Power' of Symbols) 나공 2014.08.10 1055
98 가르치기 실험들(Teaching Experiments) 나공 2014.08.11 616
97 도구주의의 새 연료(New fuel for Instrumentalism) 나공 2014.08.11 683
96 가설과 허구들(Hypotheses and Fictions) 나공 2014.08.11 652
95 경험의 실재성(The Reality of Experience) 나공 2014.08.11 655
94 가설적 모델들의 본성(The nature of Hypothetical Models) 나공 2014.08.11 658
구성에 성취가 있기를!

회원:
8
새 글:
0
등록일:
2014.06.19

오늘:
54
어제:
78
전체:
298,5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