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른스트 폰 글라저스펠트의 책과 논문들과 NHK의 번역을 모은 게시판

상대주의와 파시즘 구성주의에서 윤리 문제

(Relativism, Fascism, and the Question of Ethics in Constructivism)

 

 

에른스트 폰 글라저스펠트

A University of Massachusetts <evonglas@hughes.net>

번역: nhk

 

 

목적

- RC는 경험적 실재(現實))란 각 개체가 창조하는 것이라 주장한다. RC는 하나의 생각하기 방식으로의심할 바 없이, “주관주의/주관론과 상대주의/상대론라 칭하는 지식 이론들에 속한다이 논문은 이태리 철학자아드리아노 틸거가 행한 상대주의와 파시즘 사이 관계 분석을 다루고이러한 연결이 구성론과 구성론의 윤리적 조망에 끼칠 가능한 영향을 검토한다.

 

접근

개념 분석과 틸거의 논증에서 모순 증명.

 

결과들

칸트의 정언 명령에 내재한 윤리에 대한 검토는주관론의 지향성이 아나키즘을 시사할 수는 있지만 결단코 파시즘을 함의할 수는 없음을 보여준다.

 

의미

이러한 탐구로 구성론과 파시즘을 연관시키려는 구성론 비판자들을 더욱 곤란케 할 것이다.

 

핵심어들

상대주의/상대론주관주의/주관론윤리정언 명령.

 

 

 

체계적/구성론적 교육학은 [세계관들의 구성성(構成性)을 인정하지만관찰 가능성을 엄격히 제한할 세계관을 의심 없이 받아들이는 결정을 할 수는 없다구성론자 또한 일상적 그리고 정치적 결정을 해야만 하지만관찰자로서 자유는 구성론자한테 훨씬 큰 의미를 갖기에구성론자는 모두를 위한 구성물로 기능해야 하는 유일관(唯一觀)의 폭정에 복종하기보다는 상호 양립 불가능한 견해들을 견뎌내는 것을 선호한다.” Kersten Reich (1996: 21)

 

서문

 

Probabilismo(개연론) 서두에수학자 브루노 드 피네띠는 자신의 철학에 대한 총괄적 진술로나를 강하게 잡아끈 구절을 인용했다:

 

이제 진리는 관념의 허구적 균형에 그리고 마음 밖 어떤 것에 있지 않다진리가 마음 밖에 있다면 그걸 접해 그 의미를 얻을 방도가 없다진리란 사유자(思惟者)의 생각하기 행위에서 생겨난다.[생각은 우리 외부 변치 않는 실재를 반영하는 거울이 아니다생각은 단지 생물학적인 기능삶에서 생각 그 자신의 방향을 잡는 도구일 뿐이다.(de Finetti 1989:169).

 

이 인용구에그 당시놀라지 않을 구성론자는 없었을 것이다이것은 실제 십년 앞서 아드리아노 틸거가 1921년 첫 출간된 그의 에세이 Relativisti contemporane (“당대 실재론자들”)에서 썼던 것이다그 에세이는 한스 바이힝거알버트 아인쉬타인루이 루지에르(앙리 포앙카레의 해석자), 그리고 오스왈크 스펭글러의 인식론적 관념들에 대한 비판적 검토였다내가 이들 저자들에 지극한 관심을 가진 까닭은이들이 구성론을 예지하는 생각들을 표현했기 때문이다이태리에 있는 한 친구를 통해틸거의 에세이 네 번째 판(Tilgher 1923), 너덜너덜해진 복사본을 얻을 수 있었다.

 

 

상대주의와 정치

 

아드리아노 틸거(18871941)는 다작(多作)의 사상가였다그는 그리스 철학자들실용주의지식과 실재미학그리고 연극과 같은 다양한 주제들에 관한 십여 권 이상의 책을 출판했다에세이,“당대 실재론자들의 마지막 두 절에는 오늘날의 관념론과 상대주의 그리고 혁명이란 제목이 붙어 있다거기서 주관론이 정치 그리고 윤리와 연결되는 점에 관해 자신의 생각을 정리했다.

 

최근의 관념론(승화시켜 핵심만 추출한 칸트)의 성공은그것이 개인 행위에 주안점을 둠으로써전쟁과 연루된 세대를여타 철학들 이상으로만족시키고 있다는 사실에서 비롯된 것이다(Tilgher 1923: 76). “ 개인들은 더 이상 그들 행위들이 [제도(制度)들로 결정화(結晶化)될 것이라는 희망을 갖고 행할 수 없다[… 그들행위의 유일한 이유는 더 이상 황무지로 비행을 허용하지 않는 세상저주받은 절망적 세상에서 행위를 통해 벗어나고픈 소망일 수밖에 없다그것은 행위를 위한 행위행위로 인한 행위, ... 계속... 끝없이... 그리고 이러한 행위는 부정적 목적만을 취할 수밖에 없다현존하는 것들에 대한 전복(顚覆)(Tilgher 1923: 9091).

 

전쟁의 결과그가 설명하길국가의 권위는 무산계급의 공격(Tilgher 1923: 76)에 무너졌고이어 초래된 파시즘 운동은 <국가는 현존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를 믿고 그런 국가이기를 바라는 이들이 거듭거듭 만드는 것이다>라고 선언했다파시즘이란틸거 왈정치에 이식된 절대적 행동주의일 뿐이다주석에서 그가 언급한 바무솔리니는 파시즘을 상대주의와 액티비즘으로 묘사할 수 있다는 생각을 표현했다(1923: 77)틸거는 그의 친구루이지 피란델로가 1924년 파시스트당에 합류하자 연을 끊었을 정도로파시즘을 흔들림 없이 적()으로 대했던 것으로 보인다(cf. Morini 1992).

 

**액티비즘논쟁의 한편을 지지 혹은 반대하기 위해 직접적열성적 행위를 강조하는 교설이나 관행혹은정치적사회적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직접적물리적 행위를 취하는 노선을 가리킨다액티비즘을 실천하는 이를 활동가라 부른다.

 

 

상대주의가 파시즘과 연결될 수 있다는 생각이 나의 주목을 끈 까닭은구성론 비판자들이 구성론은 히틀러와 같은 파시스트적 태도와 운동들로 가는 길을 마련하고 있다는 암시(暗示)를 일삼고 있기 때문이다(이를테면, Linke & Kurthen 1995: 281; Gehrke 1996: 174; Jones 1999; Dean 1996)이러한 비난은 정치적 운동의 성장이 합리적 논증들로 방해받을 수 있다는 암묵적 가정에서 비롯되고 있다내 논문 비평가들 가운데 한 명은 내 글이 지도자의” 주관적 독재에 반대하는 논증들을 제공하지 않고 있다고 비난했다내가 보여주려 하는 바처럼주관적인 윤리적 원칙에 찬성하거나 반대하는 합리적 논증들이란 있을 수 없다 (글 시작부의 라이히 인용구 참조).

 

칸트한테서 주관론의 그럴듯한 소스를 찾아낸 다음이어 틸거는 <주관론에서 한 발만 더 딛으면 개인 행위의 정당화요아나키즘이요그리고 파시즘이다>라고 주장한다칸트 주관론의 기초는 정말이지 견고하다하지만나는 칸트의 견해는 아나키즘과 양립할 수는 있어도 분명코 파시즘과는 양립할 수 없음을 논증할 것이다그에 대한 칸트의 입장과 관련해서 다음 진술들은 여하한 의심도 남기지 않는다:

 

Der Mensch denkt mit seinem Verstand ursprünglich, und er schafft sich also seine Welt”[그들 오성(마음이성)으로 인간은 최초 생각들을 생성시키고이어 자신들의 세계를 창조한다](Kant 1798: 71)

 

의심할 바 없이이러한 창조하기는 액티비즘 비슷한 걸 가리키고 있지만칸트가 말하고 있는 건 심적 조작들이지파시스트 교설의 코어(核心)에 해당되는 신체적 행위가 아니다또한칸트의 주관론은다음 절에서 다시 논할그의 윤리 이론에서 나타난다.

 

틸거에 따르면그가 상대주의의 근원으로 여기는 관념론에서는 사고 작용은 매 순간 실재를 조성하고그렇게 현존할 수 있는 모든 것들을 생성시킨다 (Tilgher 1923: 80). 이러한 경험적 실재/현실의 무상함/덧없음/허무함에 기초하여그는 <이는 그 순간 실재하는 것으로 보이는 세상보다 더 완전한 실재를 함의할 것이기에 여하한 진보도 있을 수 없다>고 논증한다.

 

다양한 마음의 산출물들 모두가 완전하고 주어진 순간 거기 있는 모든 것이라면어떻게 그것들 사이 가치 차이를 찾아낼 수 있는가그리고 가치 차이들 없이어떻게 진보 또는 역사와 같은 개념 발달이 가능할 것인가마음의 순수한 작용은 그렇게 절대적으로 동등한 무수한 행위 중심들로 해체된다이러한 절대적 액티비즘은 절대적 상대주의개인주의그리고 아나키즘을 초래한다(Tilgher 1923: 8081).

 

상대주의는 아나키즘과 파시즘 양자로 동시에 이어질 수는 없다아나키즘은 히틀러의 교설뿐만 아니라 무솔리니의 것과도 양립할 수 없다양자 모두 윤리를 강제할 수 있는그리고 개개인들의 <하고 싶은 대로 할 자유>에 대한 엄격한 통제를 실시하는경직된 강력한 국가 구조를 필요로 한다콘사이스 옥스퍼드 정치학 사전에서아나키즘은 사회는 강압적 상태 없이 조직될 수 있고 조직되어야 한다는 입장으로 정의된다이것이 바로 폴 파이어아벤트가 자신을 인식론적 아나키스트(Feyerabend 1978: 21, note 12)로 묘사할 때 품었던 관점이다그는 자신은 대중적호전적 형식의 아나키즘이 아니라 절대적 규범 또는 규칙들의 부과를 전적으로 반대하는 온화한 형식의 아나키즘을 좋아한다고 설명한다이것은 테오도르 아도르노가 그의 유명한 에세이 Erziehung nach Ausschwitz (“아우슈비츠 이후 교육”1967)에서 썼던 것과 잘 어울린다: “아우슈비츠 원리를 거부하는 진정한 단 하나의 권능은 자율이다칸트 표현을 쓰자면반성하는자기-결정하는추종(追隨)하지 않는** 힘이다.”그리고 이것이 내가 아나키즘을 생각하는 방식이다파시즘은 그와 같은 개인주의를 반대하는 정반대 편에 서있다파시즘은 자신이 전능하며 나무랄 데 없다고 여겼으며 강압에 관해 여하한 거리낌도 없었다. “Mussolini ha sempre ragione ”(무솔리니는 항상 옳다)는 이태리에서 슬로건들 가운데 하나였다그리고 히틀러가 접수하기 전까지 익살스런 반대는 있었기에, “Anche se sbaglia!”(또한 그가 틀렸을 때도)라는 말들을 하곤 했다이것이 바로 히틀러와 무솔리니 치하에서 수많은 아나키스트들이 박해받고 투옥된 이유다.

 

** 필자는 여기서 ‘Nicht-Mitmachen’을 ‘<참여(participate)나 협력(cooperate)하지 않기>로 번역하지 않고 <not-going-along: 따르지(함께 하는 척하지않기>로 번역했다해서역자는 <추종추수하지 않기>로 번역한다.

 

 

윤리와 구성주의

 

내가 <칸트 윤리 이론에는 주관주의/아나키스트 요소가 있다>는 결론에 이른 방식은 그의 저작들 여러 곳에서 보이는 그의 정언 명령(Categorical Imperative)” 정식에서 나온 것이다표현 방식이 항상 전적으로 같지는 않지만변형들도 모두 칸트의 Grundlegung zur Metaphysik der Sitten (“도덕 형이상학의 기초들”)에 있는 기본 진술들과 양립 가능한 것들이다:

 

“ Handle nur nach derjenigen Maxime, durch die du zugleich wollen kannst, dass sie ein allgemeines Gesetz werde (Kant 1785: 421).

Act only according to that maxim by which you can at the same time will that it should become a universal law”(Translation: Encyclopedia Britannica 2004).

네 의지의 준칙이 항상 동시에 보편적 입법 원리로서 타당할 수 있도록 행위하라

 

이것은 이제껏 내가 본 최고의 영어 번역이다단 하나, “allgemein을 보편(universal)이 아닌 일반(general)으로 했으면 더 나았을 것이다많은 저자들은 그러한 준칙(準則)이 염원하는 행위 준칙이 아닌 이미 현존하는 절대 법칙을 뜻하게끔 이 명령을 요약했다내 이태리 철학사전(Abbagnano 1964: 461)에서는 심지어 정언 명령을 그 자체로 좋은” 행위 명령이라고 말하고 있다이것은 칸트가 뜻하려 한 것이 아니다준칙(혹은格率)당신이 일반 법칙이 되도록 의도할 수 있는’ 그러한 것이어야 한다고그는 분명히 말했다타자들이 채택했으면 하고 바라는 준칙은 당신 자신의 것이다그것은 당신은 주관적 직관이다.** 달리 말해당신이 행해야 하는 방식은 다른 사람들도당신을 따라행해야 하는 방식이어야 한다당신은 그런 방식들로만 행해야 한다칸트는 되는 대로 단어들을 사용하는 사람이 아니었다그가 당신은 의도할(will) 수 있다고 썼을 때그가 뜻한 건 염원(wish)이지 승인된 사실에 대한 진술이 아니었다염원(念願)으로그 준칙에는 근본적 주관성이 수반된다그의 Canon of Pure Reason (1787: 833)에서 칸트는 수사학적 질문을 던진다나는 무엇을 해야만 하는가그가 설명하길이것은 일상의 실용적 질문이며 이성의 영역에서 그와 같은 답이 나올 수 있다하지만그 질문은 도덕적 질문이성이 다룰 수 없는 질문일 수도 있다.

 

기대한 대로칸트 역시 일반 윤리 규칙들이 획득될 수 있는 방식을 제시하고 싶었다하지만그가 도덕 형이상학의 기초들이란 제목으로 지시한 바와 같이그걸 하기 위해 그는 형이상학으로 전향해야 했다그는 신(God)과 사후(死後)와 같은 생각들에 기댔고이어그의 순수 이성 비판에서 펼친 지식 이론이 그토록 성공적으로 피했던전통적비합리적 형이상학으로 전향했다.

 

하인츠 폰 푀르스터의 가르침, <항상 나는 ... 해야 해라고 말해야지결단코 너는 ... 해야 해라고 말해서는 안 된다>(Foerster 1993: 354)마찬가지로, <윤리적 처방은 개인적/사적인 것일 수밖에 없기에결코 강압을 수반할 수 없다>는 뜻이다나는 이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1960년대히피 시대에, 10대였던 한 여인이 나한테 설명하길, <당신 자신의 윤리 발달시키기에는 정말 문제될 게 없어요당신은 당신 부모가 가하고자 했던 모든 규칙들을 믿지 않았지만불쾌한 결과들로 이어지는 것들은 피하는 건 배웠지요>.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그것은 <일차 바이어빌러티(生存發達性)>의 예기치 않은 적용 사례였다, <인지 수준에서 뿐만 아니라 행위 수준에서도 작동한 것은 작동할 수 있는 것으로 보유(保有)된다>. 이것이 바로 우리의 주관적 행위 규범 혹은 규칙들의 생성 기초다이것은 연장되어 내가 자주 언급했던(Glasersfeld 1983: 223, 1995: 120주장을 포괄할 수도 있다, <우리는 우리 자신의 행위 규칙들과 비슷한 것들을 갖고 있다고 여기는 타자들에 대한 우리 구성을, 2차 바이어빌러티(viability)의 기초로 사용한다그럼에도이것은 사적/개인적 윤리를 초월한 것으로 이어질 수 없다예술 작품들에 대한 연구가 아무리 많아진다 해도 미학에 객관적 기준을 제공할 수 없는 것처럼.

 

** 직관(intuition): 시공간 형식에 나타남(現象)을 필요로 하는감각 영역에 한정되는그래서경험적 지식이 되는떠오른 것(表象)들 또는 그것들 사이 관계에 대한 지각.

 

 

결론

 

상대주의 혹은실상구성주의가 파시즘으로 가는 길을 준비하고 있다는 비난은 어찌 보아도 경솔한 것이다윤리에 대한 일반적 생각들로 정치 체제에 대한 선택이 결정될 수 있다고 한다면이태리와 독일에서 지배적이었던 윤리의 기독교 버전은 파시즘과 나찌즘을 방지(防止)했어야 했다. 하지만카톨릭 교황파첼리 뿐만 아니라수많은 카톨릭 사제와 개신교 목사들 또한 전체주의(全體主義)** 운동에 반대하는 그들 목소리를 높이는 데에는 실패했다.


** 개인은 민족이나 국가와 같은 전체의 존립과 발전을 위해서만 존재한다는 이념을 바탕으로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억압하고 정부나 지도자의 권위를 절대화하는 정치사상 및 정치 체제.


사회/정치 운동들은 그 자신의 윤리를 발전시키는 경향이 있는데그 운동들이옳든 그르든 내 나라** 같은 훈계들을 강조하거나그들 정당 또는 그들 지도자를 의심 없는 복종을 요구하는 아이돌(偶像)로 바꾸는 경우열리는 길은 여하한 윤리적 숙고도 없는 집단(動員행위들로 가는 길이다그때 복종은 전적으로좋은/선한/착한” 일이 되고개인은 책임에서 벗어나 있는 것으로 주장된다.

 

** 독일 혁명가이자 미국의 군인정치가였던 칼 슈르츠가 한 유명한 말: "My country, right or wrong; 옳다면 옳은 걸 지켜야 하고틀렸다면 옳게 바로잡아야 한다".

 

합리적인 인식론 모델들은 윤리적 기준도 미학적 기준도 결정할 수 없다그것들은비트겐쉬타인이 명확히 진술한이성에 접근할 수 없는 영역형이상학의 일부다그럼에도급진적 구성주의(RC)자신의 귀결로서윤리 체계 그 자체가 아닌 그 체계 발달의 출발점을 제시할 수는 있다. RC의 제시당신이 (즉흥적으로가 아닌 경험 사실들로 제약 받으며구성한타자들의 행위들이 당신 자신의 것들과 비슷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경우그것들은 이차 바이어빌러티를 확증한다하지만이러한 결론은오직 타자들이 강압 없이 행위하고 있는 경우만 가능한 것이다이것은 아나키즘의 원리에는 아주 잘 들어맞는 것으로 보이지만 파시즘과 같은 전체주의적 규범들과는 전혀 어울리지 않는다.

 

 

감사

 

이 논문 원고에 의견을 준 마리 라로첼리마크로 베토니그리고 알렉산더 리글러한테 매우 도움이 되었다는 고마움을그리고 지그프리트 쉬미트한테는 참고서 관련 도움을 받은 것에 고마움을 전한다.

 

주석들

 

따로 언급한 것을 제외한 모든 번역은 내 것이다 .

급진적 구성주의 비판가들은타자들에 대한 (RC이러한 사용은 칸트의 정언 명령을 위반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Ott 1995: 394)이는 한참 빗나간 생각이다우선그들이 염두에 둔 건칸트의 진술:“당신이 자신의 입장에 있든또는 다른 어떤 입장에 있든인간성을 항상 목적으로그리고 결코 그저 수단으로가 아니라 항상 목적으로 대하도록 행하라(Kant 1785: 429)이다이것은 정언(範疇:catogorical))” 명령이 아니다칸트는 이것을 실천(實際:practical)” 명령으로 정식화 했다둘째그리고 더욱 중요한 사실당신 자신의 생각하기와 행하기의 바이어빌러티 수준을 상승시키기 위해 타자들을 사용하기는 타자들을 ()”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다그것은 단지 그들 행하기들에 대한 당신의 해석을 사용하고 있을 뿐이다.

 

 

참고서들

Abbagnano N. (1964) Dizionario di filosofia. Unione Tipografico-editrice

Torinese, Turin.

Adorno T. W. (1967) Erziehung nach Auschwitz. In: Heydorn, H.-J. et

al. (eds) Zum Bildungsbegriff der Gegenwart. Diesterweg, Frankfurt:

111123.

Dean T. (1996) Constructivism and education. Thesis XII (North Adams

State College) 4(1).

Feyerabend P. (1978) Against method. Verso, London.

Foerster H. von (1993) Mit den Augen des anderen. In: Wissen und

Gewissen. Suhrkamp, Frankfurt am Main: 350363. Originally

published in English as: Foerster

H. von (1991) Through the eyes of the other. In: Steier F. (ed.)

Research and reflexivity. Sage, London: 6375.

de Finetti B. (1989) Probabilism. Erkenntnis 31: 169223. Originally

published in Italian as: de Finetti B. (1931) Probabilismo. Napoli:

Libreria editrice Francesco Perrella.

Gehrke, R. (1996) Was leistet der Radikale Konstruktivismus für die

Literaturwissenschaft, Deutsche Vierteljahresschrift für

Literaturwissen schaft und Geistesgeschichte LXX: 170188.

Jones P. (1999) on constructivism. Karl Jaspers Forum TA17, C10. Retrieved from http://www.kjf.ca/17-C10JO.htm on 30 June 2009.

Kant I. (1785) Grundlegung zur Metaphysik der Sitten. AkademieAusgabe,

Volume IV.

Kant I. (1787) Kritik der reinen Vernunft. Second edition. Akademie-

Ausgabe, Volume III.

Kant I. (1798) Der Streit der Fakultäten. Akademie-Ausgabe, Volume

VII.

Linke D. B. & Kurthen M. (1995) Selbstorganisation. In: Fischer, H. R.

(ed.) Die Wirklichkeit des Konstruktivismus. Carl Auer, Heidelberg:

279289.

McLean I. (ed.) (1996) The concise Oxford dictionary of politics.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Ott K. (1995) Zum Verhältnis von Radikalem Konstruktivismus und Ethik.

In: Rusch G. & Schmidt S. J. (eds.) Konstruktivismus und Ethik.

Suhrkamp, Frankfurt am Main: 280320.

Morini S. (1992) Bruno de Finetti: L’origine de son subectivisme. Cahiers

du centre d’analyse et des mathématiques, Paris. Retrieved from

http://www.rescogitans.it on 30 June 2009.

Reich K. (1996) ...dafl nie wieder Auschwitz sei. Gedanken zu einem

dekonstruktivistischen Erziehungsziel. Retrieved from

http://www.uni-koeln.de/hf/konstrukt/reich_works/aufsatze/reich_19.pdf on 30 June 2009.

Tilgher A. (1923) Relativisti contemporanei. Fourth edition. Libreria di

scienze e lettere, Rome. First edition appeared in 1921.

Wittgenstein L. (1933)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Kegan Paul, London.

 

 

Received: 27 March 2009

Accepted: 2 July 2009

 

 

 

윗글아도르노 인용문의 아우슈비츠 원리에 대한 이해를 위한 참고 번역

 

 

아우슈비츠 이후 교육

테오도르 아도르노

 

아우슈비츠 이후 교육

테오도르 아도르노

 

모든 교육에 요청되는 최고 사안은 아우슈비츠는 다시 일어나지 말아야 한다는 거다. .... 모든 교육은 야만주의에 반대한다야만주의의 재발 위협을 거론한다하지만 그것은 위협이 아니다아우슈비츠가 바로 이러한 재발이며야만주의는 그러한 재발을 선호하는 근본 조건들이 대체로 변치 않고 지속되고 있는 한 계속된다. ..... 프로이드의 통찰력 가운데, ... 문명 자체는 반문명을 만들어내며 점차 그것을 강화시킨다. ... 만약 야만주의 자체가 문명 원리에 새겨진 것이라면그렇다면그것에 대한 반대를 부각하는 시도에는 절망적인 어떤 것이 있다.

 

이러한 절망으로 사람들이 틀에 박힌 진부한 사고에 굴복하지 않도록 그들을 각성시켜야 한다는 생각은아우슈비츠 재발을 막는 수단들에 대한 반성에서 보자면앞이 깜깜해진다. ... 무고한 수백만의 사람들이 체계적으로 살해되는.... 일이엄청 역동적인 진보계몽그리고 인문주의의 성장과 비교되어 무시되는 역사 과정의 일탈 정도인 피상적 현상으로 무시될 수는 없다. ....대학살은 19세기 말 이래 수많은 나라들에서 발전된 이러한 공격적 민족주의의 부활에 그 뿌리가 있다.

 

더욱이단 한 발로 수십만이 흔적도 없이 사라질 수 있는 원폭의 발명도 대학살과 똑같은 역사적 맥락에 속한다는 생각을 떨쳐낼 수 없다. ....

 

오늘날객관적 – 사회적 그리고 정치적 – 조건들의 변화 가능성이 극히 제한되어 있기에아우슈비츠의 반복을 반대하는 시도들은 필히 주관적 영역으로 제한될 수밖에 없다이 말은 또한 그와 같은 일을 하는 사람들의 심리가 핵심적이라는 뜻이다나는 영원한 가치들에 호소하는 것이 도움이 되리라는 걸 믿지 않는다그것들에 대해 잔혹한 일을 저지르는 이들은 그저 어깨 한번 으쓱거릴 뿐이다나는 또한 박해받는 소수가 지닌 긍정적 소질을 드러내 계몽하는 것 또한 그리 효과적이지 않다고 생각한다그 뿌리는 박해자한테서 찾아야 하는 것이지가장 하챦은 핑계로 살해되는 희생자들한테서 찾을 일이 아니다. ... 사람들이 그와 같은 짓을 하게 만드는 메커니즘들을 알아야 하고이들 메커니즘들이 그들한테 보이도록 해야 하며이들 메커니즘들에 대한 일반의 각성을 일깨움으로써 사람들이 그와 같은 일을 반복하는 걸 방지하는 노력을 해야 한다오늘날 여전히 많은 이들이 기도하는 궤변적이고 풍자적인 의미에서도희생자한테는 죄가 없다오직 반성 없이 그들한테 자신들의 증오와 공격을 분출하는 이들한테만 죄가 있다이러한 반성의 결핍에 반대하는 노력을 해야 하며 사람들이 그들 자신들에 대한 반성 없이 외부로 폭발시키지 않도록 해야 한다비판적 자기-반성을 지향하는 교육만이 진정 의미 있는 교육이다. ...어린 시기에 형성되기에그러한 재발을 막는 교육은 어린 시절에 집중되어야 한다. .... 철저히 사회화된촘촘히 짜여진그물망 같은 환경에 감금된 느낌을 갖는통제관리되는 세상에서 인간성의 폐쇄공포증을 언급할 수도 있다. ... 이는 문명에 반대하는 분노들 키운다그것에 대한 저항반란은 폭력적이고 비합리적이다.

 

박해의 전역사를 통해 확인되었던 패턴은 약자에 대한 분노는 특히 사회적으로 약자로 인지된 이들 그리고 동시에 옳든 그르든 행복하게 보이는 이들을 타깃으로 삼는다는 점이다. ... 위계화된문명화된 삶의 표면 아래 깔려 있는 이러한 경향들은 극한에 다다랐다구체적인 모든 것들에사람들 개개인에그리고 개별 조직들에 만연한 보편으로 가해지는 압력은 구체적인 것들개인들을그들 저항력까지 함께 파괴하는 경향성을 갖고 있다자신들의 정체성과 저항력을 상실하면서사람들은 또한 어떤 순간 재차 잔혹한 짓을 저지르도록 자신들을 유혹하는 것들과 맞설 수 있는 자질을 박탈당한다그 '보편'이 그들이 반쯤만 믿거나 혹은 전혀 믿을 수 없는 그 어떤 아이디얼(理想 혹은 그와 같은 모델)’인 한십중팔구그들은 체제 권력이 한번 더 그들한테 명령할 때거의 저항할 수 없게 된다.

 

내가 아우슈비츠 이후 교육에 대해 말할 때그때 두 가지 영역을 말하고 있다하나는 아이들 교육특히 어린 시기이어재발이 더 이상 불가능하도록 만드는 지적문화적그리고 사회적 분위를 제공하는 일반적 계몽이다..... 그밖에 많은 유럽 나라들에서 권위적 행동과 맹목적 권위가 형식적 민주주의 조건들에서 기꺼이 인정될 수 있는 정도 이상으로 훨씬 끈질기게 지속되고 있다오히려인정해야만 하는 것은그렇게 야기된 파시즘과 테러가사람들이 아직 자기-결정(self-determination)에 대해 준비되지 않은 사이 제국과 같은 낡은 체제 권력이 부패하고 뒤흔들렸다는 사실과 연결된다는 점이다사람들은 그들 앞에 떨어진 자유가 불평등하다는 걸 입증했다이러한 이유로이어 권위적 구조들은 이전에 채택했던또는 어찌 되었든 폭로되지 않는 파괴적인제정신이 아닌 차원을 채택하는 것이다더 이상 실제 정치적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권력자의 방문들이 전국민 사이에 엑스타시 분출을 유발시키는 방식을 고려하는 경우체제 권력은 현재 생각했던 것보다 더 강력한 것이라 짐작하는 것은 충분한 이유가 된다하지만내가 강조하고 싶은 건파시즘 재발이든 그것을 막는 것이든 결정적 측면서 그것은 심리학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의 문제다내가 심리학에 대해 그토록 많은 걸 언급한 것은보다 많은 핵심적 측면들이이제까지교육의 영향 범위 밖에 놓여 있었기 때문이다. ...

 

그런 일이 다시 일어나는 걸 원치 않는다는 악의 없는 사람들도아주 자주유대/결속(bond) 개념을 불러일으켜 조장한다그들에 따르면사람들이 더 이상 여하한 유대도 갖지 않는다는 사실로 인해 그렇게 일이 벌어진다는 것이다실상권위/권력의 상실 가학적(사디스틱권위주의적 공포의 조건들 가운데 하나 은 이러한 사정과 연결되어 있다공감(共感상태로네가 그럼 안 되지하고 말하는 식으로가학적파괴적그리고 황폐해진 충동들을 가로막는 유대(紐帶)들에 호소하는 것은정상(正常상식에서그럴듯해 보인다그럼에도나는 유대/결속에 호소하는 것이 진지한 방식으로 도움이 될 거라는 생각을 환상으로 간주한다 – 물론사태들이 세상을 위해사람들을 위해 진행되도록모든 사람들이 사회적 결속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요구 또한 환상이다사람들이 스스로 실질적인 어떤 걸로 경험하고 있는 유대가 아닌 결과그 결과가 좋은 것일지라도오로지 결과만을 산출하도록 요구하는 유대/결속의 허위성은 아주 재빨리 알아차릴 수 있다대다수 어리석고 순진한 이들이 그들보다 나은 사람들의 약점을 발견했을 때놀라울 정도로재빨리 반응하는 걸 보더라도 그렇다소위유대/결속이란 쉽게 (좋은 시민임을 입증하기 위해 그들 사이에 들어감으로써공유된 신념들의 증표가 되거나수단을 가리지 않는(북치고 꽹과리치며 불러모아 유대/결속을 강화시키고 있는심리적으로 그들 반대편에 악의에 찬 분노(敵意)를 내뱉게 만든다그들은개체 자신의 이성(이유)로는 정당화 할 수 없는 규칙들에규범들에 의존하게 되는 상태타율(heteronomy)에 이르게 된다심리학에서 초자아양심이라 부르는 것의 자리에 외부의고삐풀린그리고 교체-가능한 권위/권력들이 유대/결속/연대라는 이름으로 들어선다독일에서3제국의 붕괴 이후 아주 명확히 볼 수 있었던 것처럼 그렇다그럼에도규범이라는 외피를 쓴 채권력에 아주 기꺼이 협조공모하고더 강한 자들에 표면상 복종하는 것은다시는 생겨나지 말아야 할 가해자의 태도다이러한 이유로유대결속그리고 (공동 책임이 없는연대를 옹호/지지하는 것은 아주 치명적이다대체로 자발적으로 이것들을 택하는 사람들은 명령에 복종해야 하는 일종의 영구적 강박(强迫상태에 놓이게 된다아우슈비츠 원리를 거부하는 진정한 단 하나의 권능은 자율이다칸트 표현을 쓰자면반성하는자기-결정하는추종(追隨)하지 않는 힘이다.

 

....... 이후 7페이지 정도 더 이야기가 전개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C. F. 에서 EvG 글 목록 나공 2014.12.18 7533
공지 에른스트 폰 글라저스펠트의 출판물 목록 나공 2014.04.14 84704
17 급진적 구성주의를 사람들이 싫어하는 이유 file 나공 2015.01.08 25581
16 재현과 연역 나공 2014.12.31 3408
15 Radical Constructivism - NHK's Korean version of EvG(1995) [2] file 나공 2014.08.26 6447
14 언어가 개체 경험 너머 물(物)들에 대한 기술을 제공한다는 환상을 붕괴시키는 켜뮤니케이션 역학 모델 나공 2014.07.12 5579
13 '허구'와 '가설'의 구별에서 '사이버네틱스'로 연결 나공 2014.07.12 3038
12 진화론과 동형으로서 구성주의 지식이론: 진화론적 인식론의 결함 <RC(1995), 2장 - 도구주의의 새 연료> 나공 2014.07.11 3332
11 폰 글라저스펠트의 미국 사이버네틱스 협회 선언문 (2014, 7, 26 수정) 나공 2014.04.14 4126
10 개척자(실비오 케카토, 1914-1997)를 기리며 나공 2014.06.23 2931
9 왜 화가 날까요? -- 빈센트 케니의 질문에 대한 글라저스펠트의 답 나공 2014.04.14 3031
8 사랑에 대한 합리적 생각들: 시작에는 둘이 있어야 나공 2014.04.14 9791
7 에른스트 폰 글라저스펠트를 기억하며 나공 2014.04.14 5912
6 과학적 지식과 시적 지식의 통약불가능성 나공 2014.04.14 4060
5 윌리엄 블레이크의 "밤 별에게" 나공 2014.04.14 11310
4 급진적 구성주의 - 알기와 배우기의 한 방식 - 목차 나공 2014.04.14 3239
3 감각 경험, 추상, 그리고 가르치기 나공 2014.04.14 3576
» 상대주의와 파시즘 & 구성주의에서 윤리 문제 나공 2014.04.12 49790
1 radical Constructivism: A way of Thinking and Learning: 영어 PDF 파일 file 나공 2014.06.25 4494

회원:
8
새 글:
0
등록일:
2014.06.19

오늘:
27
어제:
42
전체:
304,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