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게시판은 RC(1995)의 주제어 색인에 기초해서, 주제어에 따라 번역문들을 정렬, 연결한 것들이다.
        흄의 ‘개념적 관계들에 대한 해체’

실상, 연접 해석이야말로, 세 번째 영국 경험론자 데이비드 흄을 최고의 비타협적 회의론에 다다르게 했던 문제들 중 하나다. 그가 용맹정진으로 파헤친 것은, 특정 관계들이 박혀 들어가 있는 방식이었다: 

상이한 관념들이 함께 연결되어 있다는 건, 정말 명백해, 관찰될 수밖에 없음에도; 어떤 철학자가 연결에 대한 모든 원리를 나열이나 분류하려 했는지 나는 모른다; 하지만, 흥미를 둘 만한 주제다. 나한테, 관념들 사이 연결에 대한 원리는 오직 세 개만 보인다: 말인즉, 닮음, 시간이나 장소에서 인접, 그리고 원인이나 결과. (Hume, 1742, Essay III ) 

    그는 이러한 ‘연결들’이 만들어지는 방식의 보기를 들고, 세 개의 ‘원리들’을 한 번 더 열거하며 에세이를 끝내기 전, 말하길: 

철학자들의 호기심을 자극해 최소한 의혹이나마 일도록 내가 던진 이 느슨한 힌트들이란,  . . . 여기 설명된 바, 인간 마음의 많은 조작들은 관념들의 연결 또는 연합에 좌우되고 있다는 거다. (ibid.)

    에세이 후반부에서, ‘두 당구공의 충격(衝突)과 같은, 충동(衝動)에 의한 운동의 커뮤니케이션’을 논하며, 진술하기를: 

따라서 어떤 대상이 다른 대상과 연결되어 있다고 말할 때, 의미하는 바란, 그저, 그것들이 우리 생각들로 연결을 획득했고, 이로써 각각 서로한테 실존의 증거가 되고 있다는 추론이 생겨난다는 것뿐이다. (ibid., Essay vii, Part I) 

    로크와 흄은 인간 이해하기를, 버클리는 인간 지식을 관심사로 했음을 떠올리는 것은 극히 중요하다. 셋 모두 최우선적 관심사는, 합리적 마음의 지식 획득 방식, 그리고 지식의 확립 방식이었다. 흄이 인용구 맥락에서 거론한 ‘실존’은, 버클리가 경험 영역에서 지각-가능성으로 정의했던 그 실존이지, 존재론적 존재가 아니다. 이러한 해석의 정당성이 분명해지는 것은, <<감지(感知)들로 얻은 지각들이 그 자신들을 닮은 외부 대상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인지 아닌지> 하는 의문에 관한 흄의 다음 구절을 숙고할 때다: 

이 의문은 어떻게 결판날 것인가? 단연코, 경험으로다; 자연 자체에 대한 여타 모든 의문들처럼. 하지만, 여기서 경험은 침묵이며, 전적으로 함묵(含黙)일 수밖에 없다. 마음은 지각들 말고는 자신한테 여하한 사물도 제시할 수 없기에, 그 지각들을 대상들과 연결하는 여하한 경험도 결단코 불가능하다. 고로, 그와 같은 연결을 가정하는 건 아무 근거 없는 추리다. (ibid., Essay xii, Part I) 

    흄 이후, 인간 지식이 절대적 실재를 재현해야 한다는 신념은, 경험에 관한 추리로는 더 이상 정직하게 정당화될 수 없었기에, 형이상학의 왕국에서 버팀목을 찾아야 했다.**  ‘관계-짓기’는 여하한 여건에서도 개념 형성 행위이며, 고로 이를 착상할 능동적 마음이 필요하다는 깨침이야말로, 칸트로 하여금 그 자신을 ‘도그마에 빠진 미몽(迷夢)’에서 흔들어 깨운 사람은 흄이라고 말하게 한 요인들 중 하나였음에 틀림없다 (Kant, 1783, p.260).  

** 1장에서, 버클리 주교 또한 실재 세상은 전적으로 하나님이 주관하고 있다는 형이상학 발전시켰음을 언급했다. 로크와 흄은 교회와 여하한 공식적 연결도 갖지 않았음에도, 무신론에는 공감하지 않았으며, 합리적 지식으로 구성한 그들의 회의론적 시각을 <신의 실재성은 계시된다>는 승인된 신앙과 화해시키기는 데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바쳤다. 내가 2장 시작 절에서 말한 대로, 구성주의는 합리적 사고로 접근 방식을 제시하며, 따라서 형이상학적 숙고들에는 <끼어들지도, 그것들을 부정하지도 않는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과학(science) 나공 2014.08.18 2155
공지 물리학(physics) 나공 2014.08.18 1614
공지 존재론(ontology) 나공 2014.08.17 1817
공지 인식론(epistemology) 나공 2014.08.17 1749
공지 발생적 인식론(genetic epistemology) 나공 2014.08.17 1657
공지 적응(adaptation) 나공 2014.08.16 1588
공지 언어 습득(language acquisition) 나공 2014.08.16 1720
공지 언어(language) 나공 2014.08.16 1687
공지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나공 2014.08.16 1559
공지 번역(translation) 나공 2014.08.16 2656
공지 이성(reason) 나공 2014.08.16 2154
공지 도구주의(instrumentalism) 나공 2014.08.15 24422
공지 인지의 바이어빌러티(viability of cognition) 나공 2014.08.15 2552
공지 심적 조작(mental operation) 나공 2014.08.14 1656
공지 형이상학(metaphysics) 나공 2014.08.14 1665
공지 경험(experience) [1] 나공 2014.08.14 1701
공지 세계, 세상, 그리고 양자를 포괄하는 세상에 대한 구별 나공 2014.08.13 1880
공지 실재(reality) - 그 다의성을 맥락에 따라 일의적으로 확정하기 나공 2014.08.12 1775
공지 객관적 실재(objective reality) 나공 2014.08.12 5730
공지 객관성(objectivity) 나공 2014.08.12 1769
공지 상호작용(interaction) 나공 2014.08.12 1629
공지 사회적 상호작용(social interaction) 나공 2014.08.12 1589
공지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 나공 2014.08.12 1930
공지 실재의 구성(construction of reality) 나공 2014.08.11 2482
공지 수학(mathematics) 나공 2014.08.11 3493
공지 세기(counting) 나공 2014.08.11 7771
공지 기하학(geometry) 나공 2014.08.11 2761
공지 수 이론(number theory) 나공 2014.08.11 3069
공지 지각(perception) 나공 2014.08.11 2638
공지 칸트의 '선험적 기획'(Kant's 'Transcendental Enterprise) 나공 2014.08.11 2393
공지 감각(sensation) 나공 2014.08.11 2395
공지 가설적 모델들(hypothetical models) 나공 2014.08.11 1942
공지 개념적 분석(conceptual analysis) 나공 2014.08.10 2678
공지 가르치기 방법들(teaching methods) 나공 2014.08.10 5411
공지 급진적 구성주의(Radical Constructivism) 나공 2014.08.10 1723
공지 구성주의(Constructivism) 나공 2014.08.10 1690
공지 아이들(children) 나공 2014.08.09 1661
공지 재연(re-presentation) 나공 2014.08.09 1873
공지 언어적 상호작용들(linguistic interactions) 나공 2014.08.09 1937
공지 행위 스킴(action scheme) 나공 2014.08.08 1674
공지 상징들(symbols) 나공 2014.08.07 1856
공지 추상에 대한 삐아제 이론(Piagetian theory) 나공 2014.08.07 1571
공지 수학적 개념들(mathematical concepts) 나공 2014.08.07 1890
공지 추상(abstraction) 나공 2014.08.07 1661
공지 자아(self) 개념 나공 2014.08.07 1837
공지 알아차림(awareness) 나공 2014.08.06 1839
공지 주의(attention) 나공 2014.08.06 1680
93 가설적 모델들(hypothetical models) 나공 2014.08.11 1942
92 추상의 상이한 유형들(The different types of abstraction) 나공 2014.08.11 20843
91 '빈 서판'에 대한 과장(The Exaggeration of the 'Blank Slate') 나공 2014.08.11 719
90 코드화된 정보에 대한 환상 나공 2014.08.11 756
89 감각(sensation) 나공 2014.08.11 2395
88 심리학에 입문(Intriduction to Psychology) 나공 2014.08.11 778
87 소크라테스 이전 학파들(The Pre-Socratics) 나공 2014.08.11 1004
» 흄의 '개념적 관계들에 대한 해체'(Hume's Deconstruction of Conceptual Relations) 나공 2014.08.11 741
85 칸트의 '선험적 기획'(Kant's 'Transcendental Enterprise) 나공 2014.08.11 2393
84 지각(perception) 나공 2014.08.11 2638
83 결정적 우정(Decisive Friendship) 나공 2014.08.11 1421
82 수 이론(number theory) 나공 2014.08.11 3069
81 데카르트의 실패와 성취(A Failure and Achievement of Descartes) 나공 2014.08.11 1404
80 기하학(geometry) 나공 2014.08.11 2761
79 세기(counting) 나공 2014.08.11 7771
78 발견되는 삐아제(Discovering Piaget) 나공 2014.08.11 1368
77 버클리에 대한 재해석 하나(A Reinterpretation of Berkeley) 나공 2014.08.11 1649
76 은퇴와 새출발(Retirement and a new Begining) 나공 2014.08.11 1380
75 수학(mathematics) 나공 2014.08.11 3493
74 심적 조작에서 실재의 구성까지(From Mental Operations to the Construction of Reality) 나공 2014.08.11 1582
73 능동적 구성(Active Construction) 나공 2014.08.11 1304
72 생물학적 전제(The Biological Premise) 나공 2014.08.11 1353
71 관찰자와 관찰된 것들(The Observer and The Observed) 나공 2014.08.11 1278
70 삐아제의 추상 이론(Piaget's Theory of Abstraction) 나공 2014.08.11 1352
69 실재의 구성(construction of reality) 나공 2014.08.11 2482
68 피드백, 귀납, 그리고 인식론(Feedback, Induction, and Epistemology) file 나공 2014.08.12 2092
67 배우기 메커니즘(A Learning Mechanism) 나공 2014.08.12 713
66 인지 발달(Cognitive Development) 나공 2014.08.12 640
65 도구적 배우기의 귀납적 기초(The Inductive Basis of Instrumental Learning) 나공 2014.08.12 638
64 정보로서 네거티브 피드백(Negative Feedback as 'Information) 나공 2014.08.12 834
63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 나공 2014.08.12 1930
62 사회적 상호작용(social interaction) 나공 2014.08.12 1589
61 상호작용(interaction) 나공 2014.08.12 1629
60 개념적 관계(conceptual relation) 나공 2014.08.12 675
59 개념적 의미론(conceptual semantics) 나공 2014.08.12 682
58 객관성(objectivity) 나공 2014.08.12 1769
57 객관적 실재(objective reality) 나공 2014.08.12 5730
56 타자들을 통한 확증(Corroboration by Others) 나공 2014.08.12 680
55 상호주관적 실재(intersubjectivity reality) 나공 2014.08.12 847
54 경험적-실재(Experiential Reality) 나공 2014.08.12 713
53 실재(reality) - 그 다의성을 맥락에 따라 일의적으로 확정하기 나공 2014.08.12 1775
52 세계(The World as being Constructed) 나공 2014.08.13 613
51 세계와 세상의 일반어로서 '세상' 나공 2014.08.13 703
50 세상(A World behind The World Constructed) 나공 2014.08.13 849
49 세계, 세상, 그리고 양자를 포괄하는 세상에 대한 구별 나공 2014.08.13 1880
48 대상-개념들(object-concepts) 나공 2014.08.13 746
47 대상 영속(object permanence) 나공 2014.08.13 793
46 관찰(observation) 나공 2014.08.13 848
45 경험(experience) [1] 나공 2014.08.14 1701
44 감각운동 경험(sensorimotor experience) 나공 2014.08.14 747
구성에 성취가 있기를!

회원:
8
새 글:
0
등록일:
2014.06.19

오늘:
52
어제:
61
전체:
305,163